발굴 금지 구역의 배경과 일제의 미심쩍은 중단
충청남도 공주시, 백제의 옛 도읍지인 송산리 고분군.
그 중심에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무령왕릉(6호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중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진실
“무령왕릉 옆, 발굴이 중단된 미지의 봉분이 존재한다”는 이야기,
들어보셨나요?
“그 무덤은 일부러 열지 않은 것이 아니다. 열지 못한 것이다.”
— 고고학계 익명 인터뷰 中
대체 그 안에는 무엇이 있기에, 백제가 남긴 유일한 ‘완전 무덤’ 옆,
50년 넘게 아무도 손대지 못한 봉분이 하나 더 남아 있을까?
송산리 고분군 – 숫자가 맞지 않는 왕릉
송산리 고분군은 무령왕릉 포함 총 7기(1~7호분)가 위치
1971년, 6호분(무령왕릉)에서 봉분 벽돌 사이 명문이 발견되며 백제사 재편
하지만 이상한 점 : 백제 중기~후기 왕들의 무덤은 9기 이상이어야 함
현지 고고학자들과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8호분이 존재하나, 의도적으로 발굴이 보류된 상태”라는 견해가 오래전부터 제기
미공개 구역 – 왜 ‘발굴 금지’ 되었나?
송산리 고분군 일부 지역은
문화재청 및 유네스코 협약상 보호구역으로 묶여 있으며,
실제 조사와 탐사가 1970년대 중반 이후로 중단된 상태입니다.
주요 정보
1973년, 6호분 정비 중 ‘인근 미확인 석실’ 존재 보고
1974년 일본 연구진 시굴 조사 시, ‘기이한 구조’ 확인 후 전면 철수
이후 공문상 ‘지반 안전’ 및 ‘후세 보존 필요성’으로 탐사 중지
그러나 내부 고고학자들 사이에선
“무령왕 이후 백제 왕가의 몰락과 관련된 금기 유물 또는 시신”이 존재할 가능성에 무게를 둡니다.
“그 무덤은 역사서에도, 족보에도 없다. 하지만 분명 누군가 묻혀 있다.”
— 전 공주박물관 관계자 발언
일제 강점기, 미심쩍은 발굴 중단
흥미로운 점은,
일제 강점기(1920~30년대) 당시 일본인 학자들도 이 고분군을 조사했지만,
무령왕릉 포함 일부 구역은 ‘건너뛰고’ 조사 기록을 마쳤다는 점입니다.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고적조사보고서』에는
송산리 고분군에서 ‘조사 대상 제외된 지점’이 2곳 명시
1934년 일본 학자 와카쓰키 다카시의 일기에는
“이상한 방향의 무덤이 하나 더 있으나, 개봉 금지 명령이 내려 조사 보류함”이라는 구절 존재
그 무덤이 지금의 ‘발굴 금지 지점’과 일치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대체 무엇이 묻혀 있길래?
역사학계와 민속학계 일부에서는
그 미발굴 봉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추정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무령왕의 비공식 후계자 묘 | 왕실 분열기, 기록 누락된 왕자가 묻혔을 가능성 |
백제 마지막 왕 의자왕의 비밀 매장지 | 패망 후 신라에 항복한 왕의 시신을 백제로 몰래 옮겼다는 설 |
왜계(倭系) 외교사절단 무덤 | 일본계 봉분 양식 혼합 / 발굴 중지와 외교 민감성 연관 가능성 |
지금도 ‘봉인’ 상태로 남은 그 무덤
현재 송산리 고분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부 구역은 보존을 이유로 발굴이 불허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AI 탐사 기술과 지질탐사 레이더(GPR)를 통한
비접촉식 내부 확인 연구가 조용히 진행되고 있다는 소문도 존재합니다.
금기가 된 무덤, 우리가 모르는 백제의 마지막 조각
무령왕릉은 백제의 문명을 되살린 보물이라 불립니다.
그 바로 옆에, 아무 기록에도 없는 무덤이 또 하나 존재한다면
그건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왕조가 감추고 싶었던 마지막 이야기”일지도 모릅니다.
“그 무덤은 백제의 폐허, 그리고 우리가 알지 못하는 이름 없는 이의 이야기다.”
– 구 송산리 발굴 관계자
'조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고려궁지 – 고려 왕이 끝까지 지키려던 ‘지도에 없는 문’의 전설 (0) | 2025.07.15 |
---|---|
풍납토성 내부 구조 – 백제 왕궁이 아니라 ‘천문 관측소’였다는 가설 (2) | 2025.07.14 |
성북동 한양도성 구간 – 밤이면 혼자 걷지 말라는 이유는? (4) | 2025.07.11 |
광명 동굴 – 일제 강점기 금광보다 더 두려웠던 ‘지하 감시소’의 실체 (1) | 2025.07.08 |
양주 회암사지 – 조선의 금서 『화엄경주』가 봉안되었던 절터? (0) | 2025.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