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284

유네스코 세계유산 < 한국의 아름다운 서원 > 한국의 서원은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문화재로, 성리학의 이념으로 설립된 조선시대 교육기관인 서원(書院) 9곳을 묶은 것이다. ‘한국의 서원’에는 영주 소수서원, 경주 옥산서원, 안동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대구 달성 도동서원, 함양 남계서원, 정읍 무성서원, 장성 필암서원, 논산 돈암서원 등 9곳이 포함된다. 서원(書院)은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시작된 교육기관이다. 한국의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설립된 것으로 인재 교육과 함께 선현의 제사를 지낸다는 목적도 있었으며, 사림의 향촌 활동 구심체로 정치적·사회적 기구로서의 성격도 가지고 있었다. 한국의 서원은 조선 중종 때 풍기군수 주세붕이 영주 순흥에 지은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서 시작해 명종 때 이황이 서원의 공인화와 체제 정비에 앞.. 2021. 1. 28.
고종이 사랑한 딸 조선의 마지막 옹주 < 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옹주 덕혜는 1912년 고종의 고명딸로 태어났다. 1912년 5월 25일 조선 제26대 왕(황제) 회갑을 맞은 고종(高宗)과 궁녀인 복녕당(福寧堂) 양귀인(梁貴人)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가 측실이었기 때문에 옹주(翁主)라고 호칭했다. 양씨는 덕혜옹주를 낳고 복녕당이라는 당호를 하사받았다. 덕혜옹주는 고종의 고명딸로, 세심한 사랑을 받으며 자랐다. 고종에게는 모두 4명의 딸이 있었지만 모두 1살이 채되지 못해 사망하였기 때문에 덕혜옹주가 외동딸이었다. 1916년 준명당(浚眀堂)에 유치원을 개설하였고 덕혜옹주는 이곳을 다녔다. 덕혜옹주는 서녀(庶女)였다는 이유로 일본총독부에 의해 왕족으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여섯 살 때인 1917년 정식으로 황적에 입적하였다. 고종은 앞서 왕세자 이은처럼 일.. 2021. 1. 9.
조선의 마지막 왕 < 순종 > 순종은 대한제국기 제2대(재위:1907∼1910) 황제이자 조선 제27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907∼1910이다. 이름은 이척(李坧), 자는 군방(君邦), 호는 정헌(正軒). 1874년 2월 창덕궁의 관물헌(觀物軒)에서 고종과 명성황후(明成皇后)의 둘째 아들로 탄생하였다. 정식 시호는 문온무녕돈인성경효황제(純宗文溫武寧敦仁誠敬孝皇帝)이며 약칭 순종효황제이다. 융희황제, 융희제라는 호칭도 사용한다. 현재 대한민국 문화재청에서는 '순종 효황제'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탄생 다음 해 2월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882년에 민씨[뒷날의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를 세자빈으로 맞았다. 1897년 대한제국의 수립에 따라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904년 새로이 윤씨를 황태자비로 맞이하였다. 1907년 7월에 일제의 .. 2021. 1. 6.
한일협약의 부당함 과 일본의 침략을 알리려 < 헤이그 특사 > 헤이그 특사는 1907년에 고종이 제2차 한일협약의 부당함과 일본 제국의 침략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고종이 비밀리에 네덜란드 헤이그(Den Haag-덴 하흐) 시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보낸 3명의 특사들을 가리킨다. 그 3명은 여기에 일제의 특사인 척 연막 작전을 펴던 미국인 호머 헐버트까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합세했다. 1차 만국평화회의가 열린 것은 1899년이다. 1903년 고종은 2차 만국평화회의와 1864년에 창설된 국제 적십자 위원에 가입하고 싶다는 서한을 네덜란드로 보낸다. 이듬해인 1904년, 주 러시아 대한제국 공사 이범진은 러시아 외무 대신 람스도르프의 언질로 한국이 2차 만국평화회의 초청국 명단에 들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회담은 러시아 니콜라이 2세가 제안한 것이었고 러시아.. 2020. 12. 4.
자주독립, 자주민권이 목표 < 독립협회 > 독립협회는 1896년(고종 33) 7월 설립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이다. 정부의 외세의존정책에 반대하는 개화 지식층이 한국의 자주독립과 내정개혁을 표방하고 활동하였다. 《독립신문》을 발간하여 민중계몽에 나선 서재필(徐載弼)을 중심으로 이상재(李商在)·이승만(李承晩)·윤치호(尹致昊) 등이 적극 참여하였으며, 협회 발족 당시에는 이완용(李完用)·안경수(安駉壽) 등 정부 요인들도 다수 참가하였다. 초기에는 토론회·연설회 등 민중계몽운동에 힘써서 많은 젊은이들을 모았으며, 나중에는 정치문제에 관심을 표명하고 실천에 옮기게 되었다. 그 해 11월에 모화관(慕華館)을 독립관으로 개칭하여 집회장으로 사용하였으며, 영은문(迎恩門) 자리에 독립문을 세워 독립정신의 상징으로 삼았다. 독립협회운동은 다음과 같이.. 2020. 12. 3.
고종의 주도적인 근대적 개혁 < 광무개혁 > 광무개혁은 1896년부터 고종 및 대한제국 정부의 개명(開明)된 집권층이 주도한 근대적 개혁이다. 1897년 고종이 황제에 등극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이 개혁이 집중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고종황제의 연호인 ‘광무(光武)’를 따서 ‘광무개혁(光武改革)’이라고 부른다. 서재필 등 독립협회(獨立協會)세력이 주도한 아래로부터의 개혁과 자주 비교된다. 광무개혁은 ‘구본신참(舊本新參)’ 즉, 구식을 근본으로 삼고 신식을 참고한다는 정책이념을 추구한 데에서 나타나듯이 복고주의적인 인상을 풍기고 있었다. 특히 1896년의 개혁에서 향사제도(享祀制度)가 구식 및 음력으로 복구되고 단발령이 취소되었으며 23부(府)가 13도(道)로, 내각이 의정부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련의 조치가 1894년 갑오.. 2020. 11. 30.
임금을 황제로 칭하다 < 대한 제국 선포 > 대한 제국은 1897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우리나라의 국명이다. 임오군란 이후의 청나라의 간섭과 을미사변과 아관파천을 위시한 외세로 말미암아 열강 세력의 이권 침탈을 비롯한 국가의 자주성이 크게 위협받자 자주성을 띤 국가 수립을 염원하는 백성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져 갔다. 독립협회의 고종 환궁요구와 조선의 자주독립 주장에 힘입어 대한제국이 성립되게 이르렀다. 1897년(광무 원년) 2월 20일 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그 해 8월 17일 광무(光武)란 연호를 쓰기 시작하고 10월 3일 황제 칭호 건의를 수락하였다. 고종은 자주 의지를 대내외에 널리 표명하고 땅에 떨어진 국가의 위신을 다시 일으켜 세우려면 반드시 제국이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으며, 10월 12일 원구단(園丘團)에.. 2020. 11. 28.
청.일 전쟁의 결과 < 시모노세키 조약 > 1894년(고종 31) 조선에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조선에 원병한 청 ·일 두 나라는 조선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높혀 실권을 차지하기 위해 대립하였다. 청나라는 조선에 대한 패권을 유지하려고 했으며, 일본은 조선으로 진출하여 제국주의 정책을 확대하려 하였다. 청.일 전쟁이 시작되고 조선에서 군사적 선제공격에 나선 일본은 청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그 전선(戰線)이 만주까지 확대되었으며, 청국이 연패를 거듭하자 미국의 중재로 1895년 2월 1일부터 휴전, 강화를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양국은 3월 30일에 먼저 6개 조항의 휴전협정을 체결하고, 휴전기간 동안 강화협상을 진행하여 4월 17일 전문(全文) 11개 조항의 강화조약, 각 3조항의 의정서(議政書) 및 별약(別約), 2조항의 추가휴전협정.. 2020. 11. 25.
< 청.일 전쟁 >의 진행 과정 7월 25일 아산 앞바다 풍도에서 일본해군이 청 해군을 기습 선제공격한다. 당시 청은 군함 2척(제원, 광을)은 텐진항을 출발하여 아산만으로 이동 중이었고 이 경로를 파악한 일본 군함 3척(요시노, 나니와, 아키스시마)은 풍도에서 매복해 청군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때 청은 일본과 전운이 감돌고는 있었지만 전쟁중은 아니었고, 선전포고 없이 수송선을 침몰시키는 미친 짓을 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하고 병력을 수송했다. 그리고 일본은 그렇게 했다.) 일본해군의 포격을 받은 광을호는 도망가다 화약고가 폭발하여 좌초되고 제원호만 빠져나간다. 뒤이어 또 다른 군함 1척(조강)과 수송선(영국상선 고승)이 나타나 고승호는 격침되었고 조강호는 나포된다. 여기서 고승호 격침이 국제적 논란을 불렀다. 동학군과 싸우러 조선에 가.. 2020.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