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

병인박해에서 병인양요로

by 무님 2020. 11. 8.
728x90

 <  병인박해  >

 

 

 

병인박해는  1866년 조선 조정()에서 가톨릭 교도를 대량 학살한 사건이다.

이 사건의 원인()은 당시 시베리아를 건너온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서 비롯되었다. 1864년(고종 1) 러시아인이 함경도 경흥부()에 와서 통상하기를 요구하였을 때 대원군 이하 정부요인들의 놀람과 당황은 대단하였으나 이에 대한 대책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때 조선에 와 있던 몇몇 가톨릭 교도들은 대원군에게 건의하기를 한·불·영 3국동맹을 체결하게 되면 나폴레옹 3세의 위력으로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막을 수 있다 하여, 대원군으로부터 프랑스 선교사를 만나게 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그 시기를 놓치고 말았으니 당시 지방에서 포교하고 있던 다블뤼 주교와 베르뇌 주교가 서울에 돌아왔을 때는 조정에서 이미 러시아인의 월경과 통상요구가 시일이 경과하여 한낱 기우()에 지나지 않았다고 생각하였을 때였다. 그리하여 3국동맹이 체결되면 포교의 자유를 얻을 수 있으리라는 선교사들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오히려 그들은 지둔()과 무책임한 주선()의 발설로 비난을 받게 되었다. 그렇지 않아도 가톨릭교를 서학(西)·사학()이라 하여 배척하던 당시, "운현궁()에도 천주학()쟁이가 출입한다"는 소문이 퍼졌고, 조대비() 이하 정부 대관들이 가톨릭 교도의 책동을 비난하자 대원군은 이들 가톨릭 교도를 탄압하기로 결심하였다.

1866년 가톨릭교 탄압의 교령()이 포고되자 프랑스 선교사 12명 중 9명이 학살당한 것을 필두로 불과 수개월 사이에 국내 신도 8,000여 명이 학살되었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아직도 체포되지 않은 3명의 프랑스 신부의 행방을 찾고 있었고, 이 사건으로 산속에 피신하여 쫓겨 다니다가 병으로 죽고 굶주려 죽는 부녀자와 어린이가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이때 탈출에 성공한 리델 신부가 톈진[]에 있는 프랑스 해군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이 사실을 알림으로써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  병인박해  >

 

병인양요는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의 천주교도 학살 ·탄압에 대항하여 프랑스함대가 강화도에 침범한 사건이다.

 

신미양요

 

흥선대원군은 1866년 정초부터 천주교 금압령()을 내렸다. 이후 1871년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프랑스 선교사 12명 가운데 9명을 비롯하여 남종삼()·정의배() 등 한국인 천주교도 8천여 명이 학살되었다.

그해 5월 조선을 탈출한 펠릭스 클레르 리델(Félix Clair Ridel) 신부는, 중국 톈진[]에 주둔한 프랑스 인도차이나함대 사령관 피에르 로즈(Pierre Roze) 제독에게 한국에서 일어난 천주교도 학살사건을 알렸다. 보고를 받은 베이징[] 주재 프랑스 대리공사는 청국정부에 공한()을 보내어 한반도로 진격할 결심을 표명하고, 이후 어떠한 사태가 발생하든 청국정부는 이에 간섭할 수 없다고 통고하였다. 청국 총리아문사무()의 공한을 통해 프랑스 동태를 알게된 대원군은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과 변경() 수비를 강화했다.

 

 

 

9월 18일 리델 신부와 한국인 신도 3명의 안내로 로즈 제독이 인솔한 프랑스군함 3척은 인천 앞바다를 거쳐 양화진()을 통과하여, 서울 근교 서강(西)에까지 이르렀다. 극도로 긴장한 조정에서는, 어영중군() 이용희()에게 표하군() ·훈국마보군()을 거느려 경인연안을 엄중 경비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프랑스 함대는 9월 25일 강류()·연변만 측량하고 중국으로 퇴거하였다.

그러나 10월 로즈 제독은 순양전함() 게리에르를 비롯, 모두 함대 7척과 600명의 해병대를 이끌고 부평부() 물치도(:)에 나타났다. 10월 14일 이 중 4척 함정과 해병대가 강화부() 갑곶진() 진해문() 부근의 고지를 점거하였다. 프랑스군은 한강수로의 봉쇄를 선언하고, 16일 전군이 강화성을 공격하여 교전 끝에 이를 점령하고, 무기 ·서적 ·양식 등을 약탈하였다.

조선은 이경하() ·신헌(:) ·이기조() ·이용희 ·한성근() ·양헌수() 등 무장들에게 서울을 위시하여 양화진 ·통진() ·문수산성() ·정족산성() 등을 수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19일 프랑스측에게 격문()을 보내 선교사 처단의 합법성과 프랑스함대의 불법 침범을 들어 퇴거할 것을 통고하였다. 로즈는 회답을 통하여 선교사 학살을 극구 비난하고, 그 책임자를 엄벌할 것과, 전권대신을 파견하여 자기와 조약의 초안을 작성하라고 맞섰다. 10월 26일 프랑스군 약 120명은 문수산성을 정찰하려다 미리 잠복, 대기중인 한성근의 소부대에게 27명이 사상되는 등 처음으로 막대한 인명손실을 입었다. 이로부터 민가 ·군영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 포격을 가했으며, 이러한 만행은 황해도 연안()에까지 미쳤다.

11월 7일 올리비에 대령이 이끄는 프랑스 해병 160명은 정족산성을 공략하려다가 잠복하고 있던 500여명의 조선군 사수들에게 일제히 사격을 받아 큰 손실을 입고 간신히 갑곶으로 패주하였다. 정족산성 전투의 참패는 프랑스군의 사기를 저하시켰고, 결국 로즈 제독은 철수를 결정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 병인양요 그날의 기록 >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10월 3일 무자 3번째기사 1866년 청 동치(同治) 5년

정족 산성 수성장 양헌수가 보내온 적의 동향을 보고하다

순무영(巡撫營)에서, ‘정족 산성 수성장(鼎足山城守城將) 양헌수(梁憲洙)가 보내온 보고에 의하면 이러합니다.

이달 초하룻날 저놈들 60여 명이 이 산성에 들어와 지형을 자세히 살피고는 중들이 쓰는 기명(器皿)만 파괴하고 갔는데 그날 밤에 우리 군사가 잠입한 사실을 저놈들은 사실 알지 못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오늘 지키고 있는 성을 특별히 점령할 계책으로 저들의 두령이 말을 타고 나귀를 끌고 짐바리와 술과 음식을 가지고 와서 동문과 남문 양쪽 문으로 나누어 들어올 때 우리 군사들이 좌우에 매복했다가 일제히 총탄을 퍼부었습니다. 저들은 죽은 자가 6명이고 아군은 죽은 자는 1명입니다. 적들은 도망치면서 짐바리와 술, 음식, 무기 등을 모두 버리고 갔기 때문에 거두어 보관해두고 있습니다. 훗날 자세히 조사하여 기록하여 보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아군의 탄알 또한 모두 떨어졌으니 저들이 군사들을 더 보강해서 다시 쳐들어온다면 어떠한 지경에 이를지 알 수 없습니다. 포수를 한 300명 가량 내일 날 밝기 전에 건너보내어 형세를 돕도록 할 것입니다.’라고 아뢰었다.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10월 3일 무자 4번째기사 1866년 청 동치(同治) 5년

천총 양헌수를 한성부 우윤에 임명하다

전교하기를,

"먼저 북산을 점거한 것은 승산 있다. 지금 정족 산성(鼎足山城)을 도로 회복함으로써 군사들의 사기를 고무 격려시키고 오직 전진만 하고 퇴각할 줄 모르는 의리를 찾아볼 수 있게 하였으니 아주 훌륭한 일이며 공로 또한 적지 않다. 천총(千總) 양헌수(梁憲洙)를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으로 임명하라. 그리고 군사 중에서 부상당한 사람들은 치료해줄 것이며 죽은 사람은 시체를 거두어 묻어주도록 정찰하는 기병을 띄워 선봉진에 명을 알리라. 각별히 거행하도록 함으로써 조정에서 걱정하고 돌봐주는 뜻을 보일 것이다."

하였다.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10월 5일 경인 2번째기사 1866년 청 동치(同治) 5년

정족산 수성장 양헌수가 적의 상황을 보고하다

순무영(巡撫營)에서, ‘정족산 수성장(鼎足山守城將) 양헌수(梁憲洙)가 올린 보고는 이러합니다.

어제 패배한 적들이 오늘 틀림없이 기승을 부리며 발광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엄하게 경계를 세우고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어제 전투에서 전사한 자는 포수(砲手)인 근(楊根) 사람 윤흥길(尹興吉)입니다. 부상당한 사람은 선두보 별장(船頭堡別將) 김성표(金聲豹)와 포수인 홍천(洪川) 사람 이방원(李邦元), 춘천(春川) 사람 이장성(李長成)인데 모두 사생(死生)의 갈림길에 처해 있습니다.

유격장(遊擊將) 최경선(崔經善)과 홍석두(洪錫斗)는 평안도 포수 93명을 거느리고, 병조 좌랑 한성근(韓聖根)은 황해도 포수 50명을 거느리고 무사히 진에 도착함으로써 약간이나마 군심(軍心)을 안정시키고 있습니다만 아직도 중과부족(衆寡不足)의 근심이 있습니다.

어제 노획한 물건들은 일일이 별지 문건에다 기록하여 원물건들과 함께 올려 보냈습니다. 그리고 어제 전투 때에 6명의 적들이 남문 밖에서 죽은 것을 우리 군사들이 목격하였습니다. 어젯밤 촌민(村民)들이 와서 말하기를, 「저놈들이 행군해가면서 또한 죽은 자가 40여 명이나 되었는데 저놈들이 모두 시체를 묶어서 여러 대의 짐바리에 실어갔다.」고 하였습니다. 저놈들이 죽은 수는 50여 명입니다.’라고 아뢰었다.

 

 

 

고종실록 3권, 고종 3년 10월 8일 계사 4번째기사 1866년 청 동치(同治) 5년

이양선이 퇴각하였으나 군사 장비들은 수리해야 한다고 아뢰다

의정부(議政府)에서 아뢰기를,

"서양 배가 이미 퇴각하여 갔으니 강화도의 공해(公廨)와 군기(軍器), 전함(戰艦)을 부득불 지금 수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중건하는 역사(役事)와 새로 군사 장비를 마련하는 일은 도감(都監)을 설치하여 거행하고 명칭은 강화도 영조 도감(江華島營造都監)으로 합니다. 지종정경(知宗正卿) 이경순(李景純), 좌참찬(左參贊) 신관호(申觀浩), 지종정경(知宗正卿) 이경하(李景夏), 강화 유수(江華留守) 이장겸(李章濂), 좌윤(左尹) 정규응(鄭圭應), 우윤(右尹) 양헌수(梁憲洙)를 모두 공사를 감독하는 당상(堂上官)으로 차하(差下)하여 그들로 하여금 재목을 모아들이며 제도를 잘 토의 확정하도록 해야 합니다. 거기에 소요되는 비용과 재물은 호조(戶曹)와 선혜청(宣惠廳), 각 군영들에서 가지고 있는 것을 빌어 쓰도록 할 것이며 그들이 일을 보는 처소는 편리한 대로 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윤허하였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