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

백적 임꺽정, 의적이 되다

by 무님 2020. 4. 21.
728x90

임꺽정은 조선 중기 황해도 함경도 등지에서 활동하던 도둑으로 천민인 백정 출신이며 곡식을 백성들에게 나누어줘 의적이라고 불렸다. 일명 임거정() 또는 임거질정()이라고도 한다.

 

조선 중기 양주()의 백정() 출신으로 일명 임거정() 또는  임거질정()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자신의 신분에 대한 불만을 품고 무리를 지어 다니면서 도둑질을 일삼았다. 여러 해 연이어 흉년이 되고 당시 척족 윤원형()·이량() 등이 발호하고, 관리들의 수탈로 민생이 어려워지자 민란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날쌔고 용맹스러웠으며 자기 신분에 대한 불만을 품고 어지러운 사회를 틈타 처음에는 도당 몇 명을 모아 민가를 횡행하며 도둑질을 일삼았다. 세력이 커지자 황해도로 진출해 구월산 등지를 소굴로 삼아 주변 고을을 노략질하였다.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관아를 습격하고 창고를 털어 백성들에게 나눠주는 등 의적의 행각을 벌이자, 이 일대의 아전과 백성들이 결탁해 내통하였다. 그리하여 관에서 잡으려 하면 미리 정보를 알고 달아났다 한다.

조정에서 선전관을 보내 정탐시키자 그들 무리는 미투리를 눈 위에 거꾸로 신고 다니면서 행방을 감추었다. 선전관이 구월산에 들어가 그들의 행방을 찾다가 돌아올 적에 도둑들은 선전관을 잡아 죽였다. 임꺽정의 난은 역대 반란 가운데서도 상당히 장기적으로 지속되었고 조선 전체를 뒤흔들었다. 영의정 상진, 좌의정 안현, 우의정 이준경, 중추부 영사 윤원형등 당대 최고의 실권자가 모여서 황해도를 휩쓰는 도적떼를 없앨 대책을 세운 것이 1559년(명종 14년) 3월 27일이었다

 

1559년(명종 14) 개성 근방에서 출몰하자 개성부 포도관() 이억근()이 군인 20여 명을 데리고 그들의 소굴을 습격했다가 오히려 죽음을 당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개성부유수에게 도둑의 두목을 잡으라는 엄한 명을 내렸다. 한달이 지나도 잡지 못하자 임금은 도둑잡기를 게을리하는 수령에게는 엄벌을 가하고 공을 세우면 후한 상을 내리는 조처를 취하였다. 그러나 작은 도둑무리만 잡았을 뿐 별 성과를 올리지 못하였다.

1560년 8월에는 서울에까지 임꺽정과 그 일당이 출몰하였다. 장통방(: 종로구 종로2가 부근)에서 그들을 잡으려 하자 활을 쏘아 부장()을 맞히고 달아났다. 이 때 임꺽정의 아내와 졸개 몇 사람을 잡았다. 그리고 임꺽정의 아내를 형조 소속의 종으로 삼게 하였다.

이 해 10월에 금교역()을 통해 서울로 들어오는 길을 봉쇄하고 연도를 삼엄하게 경비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봉산에 중심 소굴을 두고 평안도의 성천·양덕·맹산과 강원도의 이천 등지에 출몰하며 더욱 극성을 떨었다.

이들은 황해도에서 빼앗은 재물을 개성에 가서 팔기도 하고 서울에 근거지를 마련하고 겁탈을 일삼았다. 이리하여 황해도 일대는 길이 막혔다. 이들은 이 때 벼슬아치의 이름을 사칭하고 감사의 친척이라고 가장하면서 관가를 출입, 정보를 알아내기도 하였다. 이 해 12월에 엄가이()라는 도둑 두목이 숭례문 밖에서 잡혔는데, 바로 임꺽정의 참모인 서림()이었다.

서림의 입을 통해, 임꺽정 일당이 장수원에 모여 있으면서 전옥서()를 파괴하고 임꺽정의 아내를 구출할 계획이 있다는 사실이 탄로났다. 또, 이들이 평산 남면에 모여 봉산군수 이흠례()를 죽일 계획을 세웠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그리하여 조정에서는 평산부와 봉산군의 군사 500여 명을 모아 평산 마산리로 진격하였다. 그 때 도둑무리는 산을 따라 내려오면서 관군을 무찔러 부장 연천령()을 죽이고 많은 말까지 빼앗아 달아났다.

이에 임금은 황해도·평안도·함경도·강원도·경기도 등 각 도에 대장 한 명씩을 정해 책임지고 도둑을 잡게 하였다. 이 무렵 서흥부사 신상보()가 도둑 무리의 처자 몇 명을 잡아 서흥 감옥에 가두자, 백주에 도둑 무리 1대가 들이닥쳐 옥사를 깨고 처자들을 구출하기도 하였다.

이 해 12월에 황해도에 순경사로 파견된 이사증()이 임꺽정을 잡았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그러나 의금부에서 추고(: 죄가 있는 관원을 신문해 그 죄를 살펴 봄) 해보니 임꺽정의 형인 가도치()였다. 그리하여 그 책임을 물어 순경사 이사증은 파직, 추관() 강려()를 하옥하게 하는 조처를 내렸다.

5도의 군졸들이 도둑을 잡으려 내왕하는 동안 민심은 흉흉해졌고, 관군의 물자마저 대느라 백성들의 원성이 들끓었으며 무고한 사람들이 잡혀가 죽음을 당하였다. 1561년 9월에 평안도관찰사 이량은 의주목사 이수철()이 임꺽정과 한온()을 잡았다고 조정에 보고하였다. 이들을 의금부에 데려와 조사를 하니 해주 출신의 군사인 윤희정과 윤세공이었다.

이들은 의주목사의 꾐에 빠져 거짓 자복했는데 서림이 이들을 보고 가짜라고 지적한 것이다. 이에 이수철에게 책임을 물어 파직시켰다. 이 해 10월 임꺽정 일당이 해주에서 평산으로 들어와 대낮에 민가 30여 호를 불태우고 많은 사람을 죽인 사건이 일어났다. 이에 조정에서는 서림을 통해 임꺽정을 꾀어낸다는 방침을 바꾸고 새로운 조처를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황해도 토포사(使)로 남치근(), 강원도 토포사로 김세한()을 임명해 정병을 딸려 보냈다. 이어 개성과 평양의 성내를 샅샅이 뒤졌으며 서울에는 동대문과 남대문 등에 수문장의 수를 늘리고 날짜를 정해 새벽부터 일시에 수색하였다.

그리하여 백성들 중 조금이라도 잘못이 있는 자는 달아났다. 이에 포졸들은 달아나는 자들을 잡아들였고 조금이라도 수상쩍으면 감옥에 넣어 온종일 서울은 호곡소리로 들끓었다 한다.

한편, 정시(: 시장을 일시동안 정지시킴) 및 모든 관청일을 중단시켰는데, 대신이 죽는 때 외에는 없던 일이었다. 또, 군역을 피하는 자들이 도둑으로 끼어 드는 일을 막기 위해 수색을 금했고, 황해도에는 전세 전부를, 평안도에는 전세 절반을 탕감하였다.

이렇게 소란이 심화되자, 의정부에서는 “토포사가 군사를 거느리고 오래 유둔하고 있어서 군민()이 곤궁, 피로하고 일도가 탕연해 원망의 소리를 귀로 차마 들을 수가 없다.” 하고 일단 많은 도둑의 졸개가 잡혔으니 임꺽정을 잡는 일은 평안도·황해도의 감사·병사에게 맡기고 토포사를 올라오게 하였다.

1562년 정월, 남치근은 서흥에서 군관 곽순수()와 홍언성()이 임꺽정을 잡았다는 보고를 올렸다. 『기재잡기()』에는 임꺽정이 잡힐 적의 정황을 이렇게 전한다.

남치근이 재령땅에서 진을 설치하니 임꺽정은 날쌔고 건장한 자만을 데리고 구월산에 들어갔고 나머지 무리에게는 요소요소를 지키게 하였다. 산을 올라가며 계속 수색하며 남은 무리를 죽이자 임꺽정은 골짜기를 넘어 도망했는데, 계속 민가를 수색하자 임꺽정이 민가에 뛰어 들어왔다.

임꺽정이 주인 노파를 위협해 “도둑이야.” 하고 소리치며 나가게 하였다.

이에 임꺽정이 칼을 빼고 뛰어나오며 도둑놈은 달아났다고 소리쳤다. 군졸들이 혼란한 틈을 타 술렁거리자, 군졸의 말을 빼앗아 타고 달아나다가 서림이 “저 놈이 임꺽정이다.”라고 소리쳐 끝내 상한 몸으로 잡혔다는 것이다.

임꺽정은 조정에서 그의 이름을 알고 대대적인 수색을 벌인 지 약 3년 만에 잡혔고, 잡힌 지 약 15일 만에 죽음을 당하였다.

실록의 사신()은 이렇게 평하였다. “나라에 선정이 없으면 교화가 밝지 못하다. 재상이 멋대로 욕심을 채우고 수령이 백성을 학대해 살을 깎고 뼈를 발리면 고혈이 다 말라버린다. 수족을 둘 데가 없어도 하소연할 곳이 없다. 기한()이 절박해도 아침저녁거리가 없어 잠시라도 목숨을 잇고자 해서 도둑이 되었다. 그들이 도둑이 된 것은 왕정의 잘못이지 그들의 죄가 아니다.”

임꺽정은 이러한 정상을 이용해 자기의 신분 차별에 대한 한을 풀어보려고 했고, 그러한 처지에 놓인 두령을 끌어 모았다. 그리고 5도를 횡행하며 관군을 괴롭혔고 온 나라를 소란에 빠뜨렸다.

그가 죽고난 뒤 명화적()은 그를 의적으로 떠받들었으며, 무수한 설화를 낳았고 소설로 그의 행적을 그리기도 하였다.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그의 앞 시대의 홍길동(), 뒷시대의 장길산()과 함께 조선의 3대 도둑으로 꼽았다.

그리하여 일부는 살육을 자행하는 포악한 도둑으로 기록하기도 하고, 일부는 백성을 위해 관곡을 털어 나눠주는 의적으로 평하기도 하였다.

 

 

2000년 양주군과 양주문화원 주관으로 임꺽정의 생가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유양동 일대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어, 학술 대회까지 개최하였다. 그 후 양주시 유양동 임꺽정 생가 터로 추정되는 곳에 임꺽정 생가 보존비를 세워 추모하고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