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인물 사전

인종, 명종시대 관련 인물

by 무님 2020. 12. 2.
728x90

1. 성수침 - 조선전기 『청송집』, 『방참판유령묘갈』 등을 저술한 학자이다. 본관은 창녕(). 자는 중옥(), 호는 청송()·죽우당()·파산청은()·우계한민(). 한성부윤 성득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령 성충달()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성세순()이다. 어머니는 강화부사 김극니()의 딸이다. 아우 성수종()과 함께 조광조()의 문인이다.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그러나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와 그를 추종하던 많은 사림들이 처형 또는 유배당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청송이라는 편액을 내걸고 두문불출하였다. 이때부터 과업()을 폐하고 『대학()』과 『논어()』 등 경서 공부에 전념하였다.

1541년 유일(: 과거를 거치지 않고 학덕으로 높은 관직에 임명될 수 있는 선비)로서 후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어머니를 모시고 처가가 있는 우계()에 은거하였다. 1552년(명종 7) 내자시주부(簿)·예산현감()·토산현감()·적성현감()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1564년 사지()에 임명되었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를 들어 사퇴했으며, 죽을 때에는 집안이 가난하여 장례를 지낼 수가 없었다. 이에 사간원의 상소로 국가에서 관곽()과 미두()와 역부()를 지급해주고 사헌부집의()에 추증하였다. 조선 초기 성리학의 토착화는 조광조를 중심으로 하는 도학사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의명분과 요순()의 지치()를 현실에 구현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기묘사화로 불가능하게 되자, 은일(: 초야에 묻혀 학자로서만 활동)을 일삼고 산간에 묻혀 자기수양에 힘써 이러한 학풍을 몸소 실천하였다.

성수침의 문하에서 아들 성혼()을 비롯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되었다. 저서로는 『청송집()』이 있으며, 글씨를 잘 썼는데 「방참판유령묘갈()」등이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파주의 파산서원()과 물계()의 세덕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이다.

 

성수심의 그림

 

 

2. 심연원 - 조선전기 예조참판, 탐라목사,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청송(). 자는 맹용(), 호는 보암(). 영의정 심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심원()이고, 아버지는 사인 심순문()이다. 어머니는 감찰 신영석()의 딸이다. 김안국()의 문인이다.

1516년(중종 11) 생원이 되고, 152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승문원권지정자()를 거쳐 예문관에 들어가 검열·대교()·봉교()를 역임하였다. 감찰()과 공조·예조·이조의 좌랑을 거쳐, 1526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다시 급제하였다. 1531년 검상·사복시부정()을 거쳐 1533년 진휼경차관()에 뽑혀 굶주린 백성을 구제했으며, 1533년 의주부사에 올랐다.

1538년에는 동부승지가 되고 이듬해에는 예조참판으로 진향사(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병조참의·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541년에 대사성, 이듬해 특진관()·형조참판, 1543년 한성부판윤, 다음 해 호조참판이 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년) 호조판서로 지경연사()를 겸임하였다.

이 해 을사사화가 일어나 위사공신() 2등에 녹훈되고, 청천군()에 봉해진 뒤 감춘추관사()로 『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47년 좌참찬·예조판서·우찬성·판의금부사·좌찬성 등을 거쳐, 우의정에 오른 뒤 좌의정을 거쳐 1551년 다시 영의정이 되었으며 청천부원군()에 진봉되었다.

문장에 능하고 일처리에 세밀하였다. 특히 중국과 우리나라의 지리에 밝아서 혹 남의 질문을 받으면 직접 자신이 목격한 것처럼 막힘없이 응대하였다. 일찍이 탐라목사로 있을 때 그곳 산천을 살펴 지도를 그려두었다. 1555년 남해변에 많은 왜구가 침입했을 때, 가장 요충 지역이던 탐라가 당시 심연원이 그려둔 지도에 의거하여 대응책을 세워 이를 막아냈고, 이에 사람들이 심연원의 선견지명에 감복했다한다. 명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혜()이다.

 

 

3. 유관 - 조선전기 이조판서, 좌찬성,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문화(). 자는 관지(), 호는 송암(). 유상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주()이다. 아버지는 장령() 유정수()이며, 어머니는 박윤손()의 딸이다. 1507년(중종 2)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2년 뒤에 정언()이 되었고, 1513년에 지평()으로 일시 경기도도사에 임명되어 진상()의 전결분정()에 따른 폐단의 개선을 건의하였다.

그 뒤 장령을 거쳐 1519년 7월에 승정원동부승지에 임명되었으나, 이 때 조광조()를 중심으로 하는 사림파 대간의 강력한 반발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같은 해 11월에 기묘사화가 발생했을 때, 사헌부집의로서 조광조 일파가 득세할 때 심히 교만하고 방종했다고 비난하고, 현량과()의 폐지와 그 급제자의 파방()을 주장하는 등 적극적으로 조광조 일파를 공격하였다.

그 뒤 동부승지·참찬관·강원도관찰사·대사간·이조참의 등을 거쳐 1525년 12월에는 특별히 통정대부에 승진하면서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어 외직에 나갔다. 이어서 우부승지·병조참판 및 동지성균관사()를 겸하고, 예조판서·우참찬·대사헌·이조판서 등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이조판서 재직 시에는 간신인 병조판서 이기()의 비행을 공격했는데, 이것이 후일 이기의 모함을 받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어서 우찬성·좌찬성에 올랐고 1541년 11월에는 평안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이 임명은 중원()에서 오랑캐의 침입과 같은 심상치 않은 일이 일어나자, 중신을 파견해 축성()·입거() 문제의 처리와 사신 왕래에 따른 폐단 제거 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왕의 배려에 의한 것이었다.

그 뒤 인종이 즉위하자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승진하였다. 명종이 즉위하면서 윤원형()·이기 등의 모함으로 일어난 을사사화에서 윤임()·유인숙() 등과 함께 삼흉()으로 몰려, 종사()를 모위()했다는 죄목으로 처벌받았다.

처음에는 절도유배형()에 처해져 서천으로 귀양갔지만, 온양에 이르러 사사()되었다. 1570년(선조 3) 신원되었으며, 1577년 복작()되었다. 시호는 충숙()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