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님의 여행 이야기

절벽 위 석탑이 아름다운 < 청량사 >

by 무님 2020. 6. 16.
728x90

청량사는 거대하고, 빽빽한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열두 봉우리가 나그네의 눈길을 잡는다. 그 연화봉 기슭 한 가운데 연꽃처럼 둘러쳐진 꽃술 자리에 자리 잡은 청량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송광사 16국사의 끝 스님인 법장 고봉선사(1351-1426)에 의해 중창된 천년 고찰이다.
창건당시 승당등 33개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던 대사찰로 봉우리마다 자리잡은 암자 에서는 스님들의 독경소리가 청량산을 가득메웠다고 한다. 또한 자연경관이 수려한 청량산에는 한때는 신라의 고찰인 연대사(蓮臺寺)와 망선암 (望仙菴)등 대소 27개소의 암 자가 있어서 당시 신라 불교의 요람을 형성하기도 하였다.하지만 조선시대 불교를 억압하는 주자학들에 의해 절은피폐하게 되어 현재는 청량사와 부속건물인 응진전만이 남아있다. 청량사의 법당인 유리보전은 창건연대가 오래되고 짜임새 있는 건축물로 인하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청량산의 최고봉인 의상봉은 화엄종의 시조인 의상대사께서 입산수도 한곳이라 의상봉이라 불리며, 이곳을 비롯해 보살봉, 연화봉, 축융봉 등 12개의 암봉이 있고 어풍대, 밀성대, 풍혈대, 학소대,금강대 등 12개의 대와 8개의 굴과 4개의 약수터가 있다.
청량사에는 불교의 우수한 유적 건물이 많았으나 어느 때인가 소실 등으로 인하여 거의 없어지고 현재 신라시대 대찰의 모습은 없지만 망월암 등 33개 암자가 있었던 유지가 있고,문수보살, 지장보살,16나한등이 봉안되어 중생의 근기에 맞는 기도처로서 손색없는 도량의 모습을 띄고 있다.

 

 

청량사 석탑

 

 

청량사를 알게 된 때는 고 노무현대통령이 돌아가시고 한참 봉화마을로 사람들의 발걸음이 향했을 쯤이다. 많이 슬펐고 만히 안타까웠더 1인으로 봉화마을은 꼭 찾아가고 싶은 곳이었다. 그리고 시간이 좀 흐른 어느날 신랑이 산행을 가자는 말에 얼른 청량산을 권했다. 청량산의 하늘다리가 정상에 있어 아름답다는 말을 듣기도 했었고 무엇보다 봉화마을을 가볼 수 있으면 좋겠다 싶었다. 그렇게 만난 절이 청량사다. 물론 청량사는 산을 오르다 만난 아주 선물같은 절이였다.

 

청량사에 오르려면 고생을 좀 해야 한다. 여태껏 잘 다져진 길을 산책하듯 걸었다면 청량사는 산행을 하는 마음으로 올라야 하는 길이지만 그래도 그 고행의 길을 걷더라도 꼭 만나 보셔야 할 절집이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면 앞으로 높지만 아름다운 돌산이 있다. 사방으로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앞으로는 절벽과 아름다게 어우러진 높은 산이 보였다.

청량사에 오르는 길은 가파른 산길을 올라야 하지만 그렇다고 험한 길은 아니어서 걷기에 부담없는 길이다. 산중턱에 쯤 오르면 돌로 산 비탈을 잘 다져 평지를 만들고 그 위에 많지 않은 절집들이 자리하고 있다. 산행을 하다 우연히 만난 필자에게는 더 없이 아름다운 모습이 아닐 수 없었다. 

청량사 일주문을 지나면 걸어오르면 절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산위에 지은 절집이지만 오르는 길 산 같은 느낌 보다는 잘 정돈된 정원처럼 꾸며 놓아 절집을 더 포근하게 만들어 준다. 청량사의 절집도 여느 절집처럼 여러 모시는 신들을 위해 전각들을 만들어 놓았는데 다 들러 보지는 못하였다.

청량사의 대전 유리보전은 663년에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한 사찰(寺刹)이며, 유리보전(琉璃寶殿)은 청량사(淸凉寺)의 주전(主殿)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이다. 자연석쌓기를 한 높은 축대위에 자연석(自然石) 초석(礎石)을 놓은 후 기둥을 세웠는데, 기둥은 모두 원주(圓柱)를 사용하였다.기둥의 상부(上部)에는 외일출목(外一出目) 내이출목(內二出目)의 공포(包)를 올렸는데, 공包는 주간(柱間) 사이에도 2개씩을 배치한 다포양식(多包樣式)을 취하고 있다.
평면은 내부를 모두 통간(通間)으로 처리하여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어간(御間) 후면(後面)에는 불단(佛壇)을 설치하였다.
불단에는 삼존의 좌불이 봉안되어 있고 천장에는 운궁이 설치되어 있다. 전각 내에는 주불인 약사여래좌상과 좌우 협시불로 지장보살과 문수보살이 봉안되어 있다. 건물의 대들보 밑에 사이기둥을 세워 후불벽을 설치한 것은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특징이다. 또한 현판은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이곳에 와서 머무를 때에 쓴 친필이라고 전해오고 있다. 청량사 유리보전에 모셔저 있는 약사여래불은 특이하게도 종이를 녹여 만든 지불이라고 한다. 이 불상은 협시불인 문수, 지장보살과 달리 단 한번도 자리를 옮기지 않았다고 하는데 지금은 개금불사를 다시하여 잘 보존하고 있다. 유지보전에 모셔진 약사여래 부처님께 지극 정성으로 기원하면 병이 치유되고 소원 성취에 영험이 있는 약사기도 도량이라고 한다.

 

청량사의 5층 석탑은 절벽위 평지에 세워져있다. 석탑 앞에 서면 사방으로 보이는 높은 산과 더 높은 하늘만이 보인다.

5층 석탑 앞에는 돌부처가 있는데 주위의 풍경에 압도되어 저절로 절을 드리게 드리게 만든다. 하늘에 다을 것만 같은 석탑은 정상과 바로 옆 깍아지른 산의 모습과 그 앞에 조용히 앉아 있는 작은 불상의 모습은 그림같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신비로움과 영험함이 느껴진다. 필자는 이 곳에 서 있는 것만으로도 많은 감동을 받았다.

이 감동을 표현하고자 하지만 나의 글솜씨로는 부족하기 그지 없음을 느낀다. 

 

청량사는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아주 인상이 깊은 곳이였다. 가야할 길이 너무 멀어 선뜻 나설 수 없지만 지금도 가끔 청량사으 5층 석탑을 찍었던 사진을 꺼내어 보곤 한다. 절집이 웅장하지도 않고 절집이 많은 곳도 아니고 가는 길이 좋지 않으매여 필자는 여러분께 이 절에 오르기를 꼭 추천한다. 그리고 청량사 5층 석탑에 올라 여러분에 마음을 내려 놓고 오기를 추천한다. 그 만큼 이곳은 영험함이 느껴지는 곳이다. 그리고 좀 더  힘을 내어 청량사의 하늘다리도 걸어 보기를 추천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