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의야사이야기

교만한 권세가 이숙번의 말년

by 무님 2020. 7. 23.
728x90

이숙번 추방 그날의 기록 <조선왕조실록>

 

 

이숙번은 태종의 일등공신이다. 본관은 안성으로, 두 번의 왕자의 난 때 태종을 도와 성공으로 이끈 주역이었다. 그는 좌명공신으로 안성군에 봉해지고, 벼슬이 우찬성에 이르었다. 이숙번은 칠원 부원군 윤자당과 어머니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형제다. 윤자당의 어머니 남씨는 젊어서 과부가 되어 경상도 함양에서 살았다. 윤자당이 일곱 살 때 남씨는 아들을 데리고 무당을 찾아가 운수를 물었다. 무당이 말했다.

"부인, 걱정 마시오. 이 아이가 귀하게 될 상이오. 허나 반드시 아우의 힘으로 귀하게 될 것이오."

"곧 아우가 생길 일이 있소."

"내가 재혼이라도 한단 말이오?"

"그렇소"

"아이, 망측해라."

"필자는 속이지 못하는 법이오. 두고 보시오."

무당의 말대로 남씨는 얼마 후 이씨 집에 재가하여 이숙번을 낳았다. 후에 윤자당은 이숙번의 영향으로 부원군이 되었다. 무당의 예언은 딱 맞아떨어진 것이다.

태종이 왕위에 오르자 이숙번은 자신의 공을 믿고 점점 교만해져 갔다. 같은 품계일지라도 상대를 마치 하인 대하듯 하고, 나중에는 태종이 불러도 병을 핑계로 가지 않는 등, 방자하기 이를 데  없었다. 이숙번의 집은 돈의문 안에 이었는데, 그 규모가 궁궐 같았다. 늘 풍악이 그치지 않고, 주지육림의 음식 냄새가 담장을 넘어왔다. 그에게 벼슬을 청하려고 뇌물을 지고 오는 선비들이 무전 성시를 이루었다.

이숙번이 조정의 요소요소에 그의 심복을 심어두었기 때문에, 서찰을 써서 보내면 죄다 벼슬아치가 되었다. 그의 권세가 하늘에 나는 새도 떨어뜨릴 만 했다. 이숙번은 지나가는 사람들과 말발굽 소리가 듣기 싫다는 이유로 조정에 건의하여 통행 그지권을 받아내고 돈의문 통행을 제한했다. 그의 권세가 어떠했는지 짐작할 수 있는 일화이다. 권력을 이용한 그의 사치와 횡포는 날이 갈수록 심해졌다. 한편, 조정에서는 그를 탄핵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뜬구름 같은 권력이란 잘못 휘두르면 패가망신이 따르게 마련이다. 

양사 합계로 이숙번 타조의 상소가 빗발쳤다. 그의 비행이 낱낱이 거론되었다. 처음에 태종은 이숙번을 시기하는 무리들의 농간으로 알았다. 내관을 몰래 시켜, 실제로 이숙번이 날마다 주지육림 속에서 풍악을 울리며 지내는지 알아보라고 했다. 그리고 그의 비행을 승지에게 따로 조사하여 보고하도록 일렀다. 그 결과 야사 합계의 상소 내용과 죄다 일치했다.

"전하, 이숙번이 나라에 공이 있다고는 하나 그의 전횡은 힐설로 다 말할 수 없는 지겨이나이다. 그는 부전 부패의 원흉이옵나이다. 본보기로 그를 희생시켜 해이해지려는 관료들의 기강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옵나이다."

"그러하옵나이다. 이숙번의 희생 없이는 벼슬아치들의 기강을 바로잡을 수 없나이다.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태종은 고신을 차마 죽일 수는 없었다."

"장 20도를 쳐서 함양 땅으로 귀양 조치하라!"

권력의 종말에는 늘 악운이 함께하게 마련이다. 이숙번은 하루 아침에 권세를 잃고 죄인의 몸으로 전락했다. 이숙번은 차차 잊혀가는 인물이 되었다. 태종의 승화와 더불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싶었다. 그러나 이숙번은 건재했다.

세종 때에 이르러 이숙번은 도승지 김돈에게 순금 띠를 뇌물로 바치고 서울로 돌아갈 수 있도록 힘써다랄고 청탁을 넣었다. 조정에 복귀하려는 야심에 차 있었던 것이다. 김돈은 순금 띠를 받기는 했으나 숙번의 청을 들어주기가 어려워, 날마다 입궐할 때 손으로 순금 띠를 쓰다듬었다. 숙번의 청을 들어주기만 하면 휘황찬란한 순금 띠는 영원히 자기 것이 되는 것이다. 때마침 세종이 <용비어천가>를 지으려고 선대의 일을 잘 아는 신하들을 모으려고 했다.

"경들은 들으라. 선대의 일을 잘 아는 전임 대신들을 추천하여 그 명단을 올리도록 하라."

김돈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숙번을 즉시 추천했다. 그러나 세종이 언짢게 여겼다.

"이숙번은 선왕에게 죄이어 유배된 몸이오. 그러 자를 부를 수는 없소."

"전하, 하오나 이숙번만큼 선왕대의 일을 잘 아는 전임 대신이 없나이다. 불러 쓰시옵소서."

"<용비어천가>를 짓는 일이온데 감히 그 누가 이의를 달겠나이까?"

우여골절 끝에 이숙번은 오랜만에 한양으로 돌아왔다. 돈화문 안 집은 이미 나라에서 차압해버렸다. 그러나 이숙번은 옛날 권세가 버릇을 버리지 못했다. 이숙번이 대궐에 들어가 후배 대신들을 만났다. 대신들은 전관의 예우로 그를 맞아 깍듯이 모셨다. 이숙번은 거드름을 피웠다.

"허허, 기 판서구먼. 자네는 소싯적부터 영특하여 내가 일찌감치 동량지재로 봐왔지. 내 눈이 틀리지는 않았구먼. 판서가 되다니, 장하이." 후배 대신들에게 이런 식으로 겸손치 못하게 행동했다.

어느 날 정승 반열의 후배들이 이숙번을 보러 왔다. 이숙번은 남향을 향해 의자 위에 앉고, 정승들은 의자 밑에 앉았다.

"오오라, 그대들은 내 문하가 아닌가?"

정승들은 속으로 불쾌했으나 참고 견뎠다. 이숙번의 사위가 그 모습을 보고 놀라서 장인에게 말했다.

"장인어른, 이러실 수는 없습니다. 정승은 상감께서도 예로 대하는 터 이 온데, 감히 어쩌자고 이러십니까?"

그제야 이숙번은 의자에서 내려와 정승들과 마주 앉았다. 그는 귀양살이를 겪고 나서도 오만과 아집을 전혀 버리지 못했던 것이다. <용비어천가> 작업이 끝났다. 세종이 도승지 김돈에게 명했다.

"이숙번을 유배지로 되돌리시오."

"전하, 이숙번은 전임 대신으로 오랫동안 유배지에서 죄를 뉘우쳤나이다. 이미 불렀사오니 드대로 두는 것이 마땅할 것이옵나이다."

"무슨 말이오? 이숙번은 선왕에게 죄를 얻은 사람이오. 과인의 마음대로 쓸 수가 없소. 속히 원래대로 복귀시키시오."

김돈이 이숙번을 찾아갔다.

"대감, 전하의 뜻이 완강하십니다. 함양으로 내려가라는 영이시오."

"전임 대신에게 이럴 수가 있단 말인가? 필요하면 부르고 일이 끝나면 되출당하는 것이 전임 대신의 신세란 말인가!"

이숙번은 울분을 터뜨렸다. 그러나 이미 세종의 눈 밖에 나서 구제받을 길이 없었다.

"여기 순금 띠를 가지고 왔소. 도로 가져가시오."

"당연히 돌려받아야지. 나는 뇌물을 받고  성사시키지 못한 일이 한 번도 없소."

이숙번은 주었던 순금 띠를 다시 챙겼다. 그는 귀양지 함양으로 내려갔다. 그는 귀양지에서도 먹고 쓰는 것이 흥청망청 사치스러웠다. 시중을 들러 따라간 첩이 강짜를 부렸다.

"대감, 이대로 재물을 쓰다가는 대감 생전에 쪽박 차게 생겼수."

"뭐야? 어디다 대고 함부로 주둥이를 놀리는 게냐!"

"앞날이 걱정이 되어 그러우."

"여봐라, 막쇠야! 저년을 살구나무 밑으로 데려가 목을 베어라!"

이숙번이 화가 나서 첩의 목을 베어버렸다. 광포하기가 맹수 같았다. 그는 끝내 한양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함양에서 말년을 쓸쓸히 보내다가 세상을 떴다. 권세가의 외로운 죽음이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