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인물 사전

예종, 성종 시대 관련 인물

by 무님 2020. 9. 16.
728x90

1. 노사신 - 1427(세종 9)∼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교하(). 자는 자반(), 호는 보진재()·천은당(). 노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노한()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노물재()이며, 어머니는 심온()의 딸이다.

1451년(문종 1) 생원시, 1453년(단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곧 집현전박사(殿)에 선임되었다. 이어 집현전부수찬·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하여 국가 사명()을 관장하였다.

1459년(세조 5)에는 세자우문학(), 이듬해는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462년에 세조의 총애로 세자좌문학에서 5자급()을 뛰어넘어 승정원동부승지에 제수되었다.

그 뒤 우부승지를 거쳐 1463년에는 도승지에 초배()되어 국가의 기무()를 관장하였다. 같은 해 홍문관직제학을 겸하여 세조가 주석()한 『역학계몽()』의 주석서 『요해()』를 증보하여 찬진()하고 불경을 한글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1465년에는 호조판서가 되어 최항()과 함께 『경국대전()』 편찬을 총괄하였다. 같은 해에 호조판서로서 충청도 가관찰사(使)를 겸하여 지방 행정의 부정을 낱낱이 조사했고, 이듬해에는 숭정대부()에 올랐다. 또한, 1466년에 실시된 발영()·등준() 양시에 응시하여 각각 1등과 2등으로 합격하는 영예를 얻었다.

1467년 말에는 건주위 정벌()의 공으로 군공 2등()을 받았다. 1468년에는 남이()·강순() 등의 역모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 3등에 올라 선성군()에 봉해졌다.

1469년에 의정부 우참찬·좌참찬을 거쳐 우찬성에 올랐다. 우찬성에 재임 중 접반사(使)로서 명나라의 사신 강호()와 예교()를 맺어 외교적 성공을 거두기도 하였다.

1470년(성종 1) 의정부좌찬성에 올라 이조판서를 겸했으며, 1471년에는 성종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476년에 영돈녕부사()가 되어 사서()와 시문을 찬진하고 성균관에서의 강의 등으로 성종의 문치를 도와, 1482년에는 선성부원군()으로 진봉()되었다.

1485년에는 영중추부사로서 평안도와 경기도의 재해를 극복하기 위한 진휼사 겸 호조판서(使)가 되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1487년 말에는 명나라 효종()의 즉위를 맞아 등극사(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우의정으로서 영안도도체찰사(使)가 되어 국가의 사민정책()을 담당하였다.

1492년에 좌의정, 1495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그러나 문과 독권관()이었을 때 처족을 합격시켰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영의정을 사직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윤필상()·유자광() 등이 김일손() 등 사림파를 제거하는 논의를 주동하자, 세조의 총신이었다는 처지 때문에 미온적으로나마 동조하였다.

그러나 유자광 등이 옥사를 확대하려는 것을 적극 견제하여 사림파의 피해를 줄이는 데 힘을 기울였다. 사옥()이 진행되는 도중인 같은 해 9월에 병사하였다.

유년 시절에 홍응()과 함께 윤형()에게 수학하였다. 학문에 조예가 깊어 문과 급제 직후에 이미 집현전학사가 되었다. 집현전학사 때에는 장서각에 나가 독서에 전념하여 ‘진박사()’라는 별칭이 붙기도 하였다.

세조·성종의 총애를 받아 문치를 도와서, 호조판서에 재직할 때는 『경국대전()』의 편찬을 주관하고, 『경국대전()』 호전()은 직접 편찬을 담당하였다. 또한 성종 때는 여러 사서()의 편찬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또 1476년 12월에는 서거정()·이파()와 함께 『삼국사절요()』를 찬진하고, 1481년에는 서거정과 함께 『동국통감()』의 수찬에도 참여하였다. 그리고 강희맹()·서거정·성임()·양성지()와 함께 『동국여지승람(輿)』의 편찬을 총재했으며, 이를 위해 1476년부터 동국문사시문()을 수집하였다.

한편 1482년에는 이극돈()과 함께 『통감강목()』을 신증()하고, 이듬해에는 『연주시격()』과 『황산곡시집()』을 서거정·어세겸() 등과 같이 한글로 번역하는 등의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시호는 문광()이다.

 

 

동국여지승람

 

 

2. 민수 - 조선전기 인수부승, 예문관응교, 사간원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여흥(). 고려시대 첨의찬성사() 민종유()의 6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참판 민심언()이고, 아버지는 민충원()이며, 어머니는 오부()의 딸이다.

1456년(세조 2) 생원시에 1등으로 합격했고, 1459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로 처음 벼슬길에 올랐으며, 곧 인수부승()으로 옮겨졌다. 1459년 6월 인수부승 재직 중 사헌부지평() 이영은()과 함께 인재 양성을 위한 방책으로서 한관()을 제수하여 학문에만 전념하게 하는 사가독서()의 혜택을 받았다.

그 뒤 세조대를 통하여 사관직()을 겸대, 1464년 천문·풍수·율려()·의학·음양·사학()·시학()의 육성을 위하여 각 분야에 6인의 젊은 문신을 배치할 때 최경지() 등과 함께 시학문()에 배속되었다.

1469년(예종 1) 봉상시첨정() 재직 중 춘추관이 『세조실록()』의 편찬을 시작하자 그간에 작성한 사초()를 수납하였다. 이때 작성한 사초에는 실록 편찬을 주관한 대신 등의 득실도 기재되어 있었다. 그런데 사초에 이를 기록한 사관의 이름을 명기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춘추관기사관 강치성() 등과 몰래 해당 사초를 꺼내어 지춘추관사() 양성지()에 관계된 내용 등에 6사()를 고쳐서 납입하였다.

곧 이 사초 개정이 탄로나면서 의금부에 수감되어 사형으로 논죄되었다. 그러나 예종이 동궁()으로 있을 때 서연관()이었다는 인연과 독자()라는 입장이 고려되어 특별히 죽음을 면하고 제주도에 관노()로 예속되었다. 1477년(성종 8) 죄에서 풀려서 예문관봉교에 제수되었다. 그 뒤 예문관응교·사간원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3. 이극배 - 조선전기 영중추부사,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광주()이다. 자는 겸보(), 호는 우봉(). 이집()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이지직()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이며,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47년(세종 29)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으며, 그 해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처음에는 승문원부정자로 보임되었고 이어 감찰이 되었으며, 검찰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정언·지제교가 되었다. 얼마 뒤에 지난번 명나라에 갔을 때 검찰직을 잘 수행한 것으로 평가되어 병조 겸 좌랑이 되었다가 정랑으로 승진하였다.

세조가 즉위하는 데 공이 인정되어 좌익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1457년(세조 3)에는 예조참의 겸 경상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이어 가선대부()에 승자되어 광릉군()에 봉해졌다.

그 뒤 병조참판과 예조참판 겸 집현전제학을 거쳤다. 1459년에는 북변의 야인 정벌 때 신숙주()의 종사로 출전했고, 돌아와서는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1462년 이래 호조·공조를 제외한 4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외직으로는 평안도절도사가 되어 변방의 어수선한 인심을 잘 무마했다. 그 공으로 정헌대부()로 품계가 올라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예종 때는 우참찬이 되었다. 1471년(성종 2)에는 좌리공신()으로 책훈되고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1479년에는 보국숭록대부()에 올라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481년부터 2년 동안 대기근이 일어나자 진휼사(使)로 활약하고, 겸판호조사()가 되었다. 1485년에 우의정이 되었다. 1493년에 영의정에 제수되었으나 노병을 구실로 사양했다. 다시 광릉부원군()에 봉해졌다.

이극배는 기국과 도량이 크고 깊으며 뜻과 생각이 견고했다. 경학으로 근본을 삼았고 행정 재능도 겸비하였다. 오래 정치권력을 손에 쥐고 있으면서도 사사로이 손님을 맞지 않았으며, 가무()는 그릇된 것으로 여겼다. 나라의 일을 의논할 때는 대체적인 것에 힘쓰고, 세세한 것은 거론하지 않았다. 시호는 익평()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