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채수 - 조선전기 충청도관찰사, 성균대사성,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중종반정공신이다.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 채영(蔡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필선 채윤(蔡綸)이고, 아버지는 남양부사 채신보(蔡申保)이다. 어머니는 유승순(柳承順)의 딸이다.
1468년(세조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469년(예종 1) 식년문과에 장원하여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470년(성종 1) 예문관수찬이 된 뒤, 홍문관교리·지평·이조정랑 등을 역임하면서 『세조실록』·『예종실록』의 편찬에 관계하였다.
1477년 응교가 되어 임사홍(任士洪)의 비행을 탄핵했으며, 승지를 거쳐 대사헌으로 있을 때 폐비 윤씨(廢妃尹氏: 연산군 생모)를 받들어 휼양할 것을 청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벼슬에서 물러났다.
1485년 비로소 서용되어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가 하정사(賀正使)·성절사(聖節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성균대사성 등을 거쳐 호조참판이 되었다. 그러나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이후 줄곧 외직을 구하여 무오사화를 피하였다. 1499년(연산군 5) 이후 예조참판·형조참판·평안도관찰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핑계로 나아가지 않았다.
갑자사화 때는 앞서 정희대비(貞熹大妃)가 언서(諺書)로 적은 폐비 윤씨의 죄상을 사관(史官)에게 넘겨준 것이 죄가 되어 경상도 단성으로 장배(杖配)되었다가 얼마 후 풀려났다. 1506년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여기에 가담,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에 녹훈되고 인천군(仁川君)에 봉군되었다. 그 뒤 후배들과 함께 조정에 벼슬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벼슬을 버리고 경상도 함창(咸昌: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에 쾌재정(快哉亭)을 짓고 은거하며 독서와 풍류로 여생을 보냈다. 사람됨이 총명하고 박람강기하여 천하의 서적과 산경(山經)·지지(地誌)·패관소설(稗官小說)에까지 해박하였다.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시문에는 특히 뛰어나 어려서부터 문예로 이름을 얻을 정도로 당대의 재사였다. 그러나 성격이 경망되고 행동이 거칠고 경솔하여 독실한 유학자는 못 된 데다가, 1511년(중종 6)<설공찬전(薛公贊傳)>이라는 패관소설을 지어 윤회화복을 말하다가 사림의 비난을 받아 불태워지기까지 하였다.
김종직(金宗直)에게 종유(從遊)하고, 특히 성현(成俔)과 교제가 깊었다. 사신으로 북경을 내왕하는 길에 요동명사(遼東名士)이던 소규(邵圭)와도 친교를 맺었으나, 당시 새로이 등장하던 사류(士類)와는 잘 화합하지 못하였다.
1703년(숙종 29) 함창의 사림에 의하여 그의 고장에 임호서원(臨湖書院)이 건립되고 표연말(表沿沫)·홍귀달(洪貴達) 등과 함께 제향되었다. 저서로 『나재집』 2권이 있다. 좌찬성에 추증되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2. 허종 - 1434(세종 16)∼1494(성종 25).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종경(宗卿)·종지(宗之), 호는 상우당(尙友堂). 허기(許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양양도호부사 허비(許扉)이고, 아버지는 군수 허손(許蓀)이며, 어머니는 부녹사 최안선(崔安善)의 딸이다. 좌의정 허침(許琛)의 형이다.
1456년(세조 2)에 생원시를 거쳐, 1457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의영고직장 겸 세자우정자(義盈庫直長兼世子右正字)를 거쳐, 1458년 군기시직장 겸 세자우정자가 되었다. 1459년 언로 개방, 이단 배척, 경연 실시 등을 주장하는 소를 올려 세조의 신임을 얻으면서 선전관을 겸하였다. 그리고 그 해 지평 이영은(李永垠), 승문원부교리 정효상(鄭孝常) 등과 함께 사가독서의 혜택을 받았으며, 이어 통례문봉례랑 지제교 세자좌정자(通禮門奉禮郎知製敎世子左正字)가 되었다. 1460년 여진족의 침입 때 평안도병마절제사도사로 출정했고, 조정으로 돌아와 성균관주부·예문관봉교 등을 거쳐 이듬해 형조도관좌랑이 되었다.
그 뒤 함길도도사·사간원정언·함길도경차관·훈련원판관 등을 거쳐, 1465년 성균관사예에 올랐다. 그리고 평안·황해·강원·함길도체찰사 한명회(韓明澮)의 종사관이 되어 북변경영에 공헌하고 동부승지에 발탁되었다.
1466년 함길도병마절도사가 되었으나 아버지상을 당해 사직했다가,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계기로 기복(起復 : 상중에 국가의 필요에 의해 관직에 나오던 제도)되었다. 조석문(曺錫文)·강순(康純)·어유소(魚有沼)·남이(南怡) 등과 함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 1등에 책록되고 양천군(陽川君)에 봉해졌다.
1469년(예종 1) 평안도관찰사·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대사헌에 오르고, 이듬해 병조판서가 되었다. 1471년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4등에 책록된 뒤, 지중추부사·판중추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을 거쳐 1477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1477년 10월 건주위(建州衛) 여진족이 침입하자 평안도순찰사로 파견되었고, 이듬해 의정부좌참찬이 되었다가 할머니상으로 사직하였다. 1481년 북변 방어를 위한 <평안도연변제읍적로요해산천험이도(平安道沿邊諸邑賊路要害山川險易圖)>를 제작해 올리고 호조판서가 되었다. 이듬 해임원준(任元濬) 등과 함께 『소문충공집(蘇文忠公集)』을 주해(註解)하고 우찬성이 되었다. 1483년에는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고, 세조비 윤씨의 국상 때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가 되었다. 1485년에 어머니상으로 사직했으나, 1487년 기복되어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듬해에는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과 부사 왕창(王敞)의 원접사·반송사로 활약한 공으로 병조판서에 임용되었다.
1489년 강원도축성사로 파견되어 축성·병기를 고험하고 곧 영안도관찰사가 되었다. 1491년 여진족 우디거(兀狄哈)가 함길도 방면으로 침입하자, 북정도원수(北征都元帥)가 되어 이를 격파하고, 이듬해에 우의정에 올랐다.
문무를 겸비해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겼고, 의학에도 조예가 깊어 내의원제조(內醫院提調)를 겸임하였다. 중종 때의 명의인 김순몽(金順蒙)·하종해(河宗海) 등을 가르쳤고, 천문·역법에도 조예가 깊었다.
서거정(徐居正)·노사신(盧思愼) 등과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서거정·노사신·어세겸(魚世謙)·유순(柳洵)·유윤겸(柳允謙) 등과 『연주시격(聯珠詩格)』·『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언해하였다. 또한 윤호(尹壕) 등과 『신찬구급간이방(新撰救急簡易方)』을 편찬하였다.
문집으로는 『상우당집』이 있고, 편서에는 『의방유취(醫方類聚)』를 요약한 『의문정요(醫門精要)』가 있다. 성종조의 청백리로 녹선되었고,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3. 현석규 - 1430(세종 12)∼1480(성종 11).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덕장(德璋), 호는 청단(淸湍). 할아버지는 현극소(玄克昭)이고, 아버지는 호군 현효생(玄孝生)이며, 어머니는 이비(李芾)의 딸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녀사위이다.
1453년(단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집경전직(集慶殿直)에 제수된 뒤 수 차례 자리를 옮겨 내섬시직장을 역임하였다. 1460년(세조 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감찰에 이어 개성부도사·성균관직장·형조도관정랑(刑曹都官正郎)·예조정랑·중추부경력 등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사인으로서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세조실록』의 편수에 참여하였다. 1472년 집의로서 언사(言事)를 활발히 전개하고, 경연에도 참여하였다. 1474년 동부승지에 발탁되고, 이듬해 우부승지·좌부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올랐다.
1477년 승지들 간의 불화로 좌승지 임사홍(任士洪), 우승지 한한(韓僩), 좌부승지 송순효(孫舜孝)가 문책되면서 체직(遞職: 벼슬을 갈아 냄.)되었으나, 성종의 신임으로 유임되었다. 이어 대사헌으로 승진했으나, 대간들이 그 부당함을 논하였다. 그러자 3일 후에는 형조판서로 승진되었고 다시금 대간들의 소가 쏟아지면서 결국 지중추부사로 체직되었다.
1478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그 해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가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유임을 청해 1년간 더 재직하였다. 이듬해윤필상(尹弼商)을 도원수로 한 여진 정벌에 부원수로 차출된 김교(金嶠)를 대신해 병마절도사의 직임까지 수행하였다. 1480년 유진장(留鎭將)으로서 건주위(建州衛) 정벌에 공을 세워 우참찬이 되었다.
성품이 정직·청렴해 매사에 공의를 주장했고, 명석한 판단으로 공사(公事)를 처리하는 등 성종 초의 정치에 공헌하였다. 시호는 정경(貞景)이다.
'조선 인물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0) | 2020.09.24 |
---|---|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0) | 2020.09.21 |
성종시대를 뒤흔든 스캔들의 주인공 < 어우동 > (0) | 2020.09.16 |
예종, 성종 시대 관련 인물 (0) | 2020.09.16 |
예종, 성종 시대 관련 인물 (0) | 2020.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