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이방원을 말하려고 하면 많은 글을 올려야 할것 같다. 그의 모습은 한가지로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다.우선~~
태종 이방원은 고려 공민황 16년에 태조 이성계의 다섯번째 아들로 태어났다.어머니는 정종과 같은 신의왕후 한씨였다.
If you want to talk about Taejong Yi Bangwon, you should post a lot of posts. His appearance is not enough to be expressed in one way.First of all~
Yi Bang-won of King Taejong was born in 16th year of the Goryeo Dynasty as the fifth son of King Taejo Lee Seong-gye.His mother was Han, Queen of God like Jeongjong.
그는 대대로 무장을 배출한 이성계 가문의 유일한 문과 급제자로 어려서부터 부친의 희망이었다. 이방원은 정몽주를 처치하는 거사가 성공한 뒤 남은ㆍ정도전ㆍ조준 등 52인과 이성계의 추대를 협의하고, 공민왕비 안씨를 움직여 수창궁에서 즉위하게 하였다. 새로운 왕조의 시작을 연 것이다. 새 왕조를 여는 데 있어 이방원은 중요한 고비마다 그 중심에 있었다. 새 왕조를 개창한 뒤, 아마도 이방원은 부왕의 등극에 절대적인 공헌을 하였고 개인적인 능력이나 중망으로 보아 자신이 후계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세상은 그에게 좌절의 아픔을 주었다.
그에게 닥친 첫 번째 좌절은 태조 초에 이루어진 개국공신의 선정 과정에서 누락된 것이었다. 개국공신의 선정을 주도한 태조는 아들의 공은 인정하되 친자(親子)라는 이유로 공신 선정에서 제외시켰다. 왕자 신분이 되면서 정치적ㆍ사회적으로 누릴 수 있는 특권을 가졌을 것이지만, 개국공신의 선정에서 제외된 것은 그것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두고볼 때 이방원에게는 서운한 일이었다.
그는 1398년에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이때 그는 이방석과 정도전을 제거하고 자신의 둘째 형인 이방과(정종)를 세자로 추대했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400년에는 넷째 형인 이방간과 권력을 놓고 다툰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다. 이 싸움에서 이방원은 이방간을 제거하고 세자의 자리에 올랐다.
정종 재위 2년만에 이방원은 왕위를 물려 받는다. 태종의 많은 업적은 다음편에 올리려고 한다. 이 글에선 태종의 전체적잉 삶을 올려 보고 싶다.
태종에게는 4명의 아들이 있었다. 첫번째 아들 양녕대군, 둘째 아들 효령대군, 셋째 아들 충녕대군, 넷째 아들이 성녕대군이다. 조선은 유교 사회라 왕실이건 일반 사대부 가문이건 적자를 우대하였다. 당연히 장남인 양녕대군이 세자를 물려 받게 된다. 둘째 아들 효령은 유교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불교에 심취해 있었으며 셋째인 충녕은 공부에 빠져 있었다. 태종에게 가장 문제는 첫째 양녕대군이였다. 양녕의 반항심은 날리 커졌으며 이로 인해 결국 1418년 6월 3일 세자에서 폐위를 당한다. 그리고 역사의 빛을 남길 충녕대군(세종대왕)이 세자의 책봉이 된다.
태종은 세자가 된지 2개월 밖에 안된 충녕에게 왕이를 물려주고 상왕의 자리로 물려난다..하지만 태종은 상왕이 되어서
군사문제를 직접 결정하는 등 중요한 문제에 참여하였다. 태종은 손에 피를 묻혀가며 왕 위에 올랐지만 권력만 휘둘렸던 왕은 아니였던거 같다. 조선 왕조에서 유일하게 자발적으로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된 왕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 최고의 성군인 세종을 탄생한 아버지이기도 하였다. 세종이 이룬 모든 업적뒤엔 태종이 굳건하게 지켜주었음은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다.
He was the only liberal arts student of the Yi Seong-gye family, who had been armed for generations, and had been his father's hope since childhood. After the successful death of Jeong Mong-ju, Yi Bang-won discussed the addition of Yi Seong-gye with 52 people, including the remaining, Jeong Do-jeon, and Jo Jun, and moved Queen Ahn of Gongmin to ascend the throne at Suchang Palace. It opened the beginning of a new dynasty. Yi Bang-won was at the center of the new dynasty at every critical junctur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dynasty, Yi Bang-won probably made an absolute contribution to the ascension of the vice king and thought that he would be the heir, given his personal ability or ambition. But the world gave him the pain of frustration.
The first setback for him was missing in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founding meritorious retainers made at the beginning of the reign of King Taejo. King Taejo, who led the selection of a meritorious retainer, recognized his son's contribution, but excluded him from the list because he was his father. He would have had the privilege of being a prince and enjoying it politically and socially, but his exclusion from the selection of the meritorious retainer was disappointing for Lee Bang-won in terms of its symbolic meaning.
He started the First Prince's Rebellion in 1398. At this time, he removed Yi Bang-seok and Jeong Do-jeon and appointed his second brother, Yi Bang-gwa (Jeongjong), as the crown prince. Two years later, in 1400, the second prince's struggle over power broke out with his fourth brother, Yi Bang-gan. In this fight, Yi Bang-won removed the guard and ascended to the throne of the crown prince.
Two years after King Jeongjong's reign, Yi Bang-won succeeded to the throne. Many of King Taejong's achievements will be published in the next installment. In this article, I want to raise the overall life of King Taejong.
Taejong had four sons. First son Yangnyeongdaegun, second son Hyoryeongdaegun, third son Chungnyeongdaegun, and fourth son Seongnyeongdaegun. Joseon was a Confucian society, so it favored the deficit, whether it was a royal family or a general aristocrat. Of course, Yangnyeongdaegun, the eldest son, will inherit the crown prince. His second son, Hyoryeong, was still immersed in Buddhism despite being a Confucian nation, while his third son, Chungnyeong, was studying. The biggest problem for Taejong was the first Yangnyeongdaegun. Yangnyeong's rebellious spirit grew rapidly, which eventually led to the abdication of the crown prince on June 3, 1418. And Chungnyeongdaegun (King Sejong), who will leave the light of history, becomes the crown prince's bookkeeper.
King Taejong passed down the king to Chungnyeong, who had been only two months since he became a crown prince, and was succeeded to the throne of the king.But Taejong became the king.
He participated in important matters, such as deciding military matters directly. King Taejong ascended the throne with blood on his hands, but it seems that he was not the only king who was swayed by power. This is because he is the only king in the Joseon Dynasty who voluntarily handed down the throne and became a king. He was also the father of King Sejong, the greatest king of Joseon. It is a fact that King Taejong firmly defended all the achievements of King Sejong.
헌릉(獻陵 : 태종과 원경왕후)은 태종(太宗)과 비(妃)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 : 驪興)의 쌍릉(雙陵)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瑞草區) 헌인릉길 34에 있다.
태종은 조선 제3대 왕(재위 1400∼1418)으로 휘는 방원(芳遠), 자는 유덕(遺德), 태조의 5남으로서 정안군(靖安君)에 봉해졌다. 어머니는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이고, 비는 민제(閔霽)의 딸 원경왕후이다. 1382년(우왕 8)에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대언(密直司代言)이 되었다.
The Royal Tomb of King Taejong and Queen Wongyeong is located in 34 Tomb Road, Heonin-neung, Seocho-gu, Seoul.
King Taejong was the third king of the Joseon Dynasty (1400-1418), and was consecrated to Jeongan-gun as the fifth son of Bangwon, Yudeok, and King Taejo. Her mother is Han, Queen of Sinui and Queen Wongyeong, daughter of Minje. In 1382 (Wow 8),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became a secretive maxim.
'조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4대왕 세종 이도 - 조선의 가장 빛난 왕 King Sejong the Great - The Shiningest King of Joseon (0) | 2020.02.12 |
---|---|
태종 이방원이 남긴 것 What King Taejong Lee Bang-won left behind (0) | 2020.02.11 |
조선의 2대왕 정종 - 이방과 King Jeongjong of Joseon - Yi Banggwa (0) | 2020.02.09 |
태조 이성계 조선 1대왕이 되다 King Taejo Yi Seong-gye of Joseon (0) | 2020.02.08 |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 Yi Seong-gye, founder Lee Seong-gye (0) | 2020.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