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

중종시대 문신 김안로

by 무님 2020. 4. 18.
728x90

김안로는 조선전기 이조판서, 도총관, 대제학,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연안(). 자는 이숙(), 호는 희락당()·용천()·퇴재(退). 할아버지는 지중추부사() 김우신(), 아버지는 공조참의() 김흔()이며, 어머니는 윤지()의 딸이다. 부인은 채수()의 딸이고, 아들은 조선 중기의 화가인 김시()와 김기()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었고, 1506년(연산군 12)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적()에 처음 임명된 뒤 수찬()·정언()·부교리() 등 청환직(: 학식과 문벌이 높은 사람에게 내리는 관직)을 역임하였다.

1511년 유운()·이행() 등과 함께 사가독서()했고, 직제학()·부제학·대사간 등을 거쳤으며 일시 경주부윤으로 나갔다.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 일파가 몰락한 뒤 발탁되어 이조판서에 올랐다.

아들 김희()가 효혜공주()와 혼인해 중종의 부마()가 되자, 이를 계기로 권력을 남용하다가 1524년 영의정 남곤()·심정(), 대사간 이항 등의 탄핵을 받고 경기도 풍덕()에 유배되었다.

남곤이 죽자 1530년 유배 중이면서도 대사헌 김근사()와 대사간 권예()를 움직여 심정의 탄핵에 성공하고, 이듬해 유배에서 풀려나 다시 서용되어 도총관()·예조판서·대제학을 역임하였다. 그 뒤 이조판서를 거쳐 1534년 우의정이 되었으며, 이듬해 좌의정에 올랐다.

1531년 다시 임용된 이후부터 동궁(: 인종)의 보호를 구실로 실권을 장악해 허항()·채무택()·황사우() 등과 함께 정적()이나 뜻에 맞지 않는 자를 축출하는 옥사()를 여러 차례 일으켰다.

정광필()·이언적()·나세찬()·이행()·최명창()·박소() 등 많은 인물들이 이들에 의해 유배 또는 사사되었으며, 경빈 박씨()와 복성군()이미() 등 종친도 죽음을 당했다. 또한 왕실의 외척인 윤원로()·윤원형()도 실각당하였다.

1537년 중종의 제2계비인 문정왕후()의 폐위를 기도하다가 발각되어 중종의 밀령을 받은 윤안인()과 대사헌 양연()에 의해 체포되어 유배되었다가 곧이어 사사되었다. 사망 당시 그의 나이 향년 56세였다. 이렇듯 그는 권신으로서의 정치적 행적으로 인해 '정유삼흉()'이라 불릴 정도로 역사적으로 좋지 않은 평을 받았다. 

 

희락당 김안로의 묘

 

그러나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에 처음 제수된 이후, 직제학 · 부제학 · 대제학 등을 역임한 사실을 볼 때, 문학적 재능만큼은 당대 최고의 반열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문집인 『희락당고(稿)』를 비롯하여 그 안에 수록되어 있는 『용천담적기』가 이를 방증해 준다. 또한 글씨를 잘 써 1536년 <동경회도>에 화제를 썼다고 하는데, 《근묵》에 전하는 행서 <증순지환향()>을 통해 서풍을 짐작할 수 있다.

 

 

 

728x90

'조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종실록  (0) 2020.04.18
중종의 어의녀 장금  (0) 2020.04.18
중종시대 학자 남곤  (0) 2020.04.18
중종시대 관련 인물 - 사암 박순  (0) 2020.04.18
중종시대 관련 인물 - 회재 이언적  (0) 2020.04.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