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

태조실록의 편찬과 내용

by 무님 2020. 3. 1.
728x90

<태조실록>은 태조 원년인 1392년부터 1398년 9월까지 7년 동안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이다. 정식 이름은 <태조가헌대왕실록>이다. 모두 15권 3책이며, 처음에는 베껴 쓴 책으로 전해지다가 뒤에 활자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다른 왕들의 실록과 함께 국보 제151호로 지정되었다.

 

1409년 8월 28일에 태종은 영춘추관사 하륜, 지춘추관사 유관, 동지춘추관사 정이오, 변계량에게 명하여 <태조실록>을 편찬하게 하였다. 그러나 시대가 멀지 아니하고 또 당시에 활동하던 인물들이 모두 살아 있으므로 실록 찬수가 이르다 하여 후일을 기다리자는 건의도 있었으나 태종은 듣지 않았다. 태종은 태조 원년부터 정종 2년까지의  사로츨 각 사관에게 제출하도록 명령하는 동시에, 하륜 등으로 하여금 실록을 편찬하게 하였다.

<태조실록> 15권이 처음 완료된 것은 태종 13년 3월이며, <정종실록>은 세종 8년인 1426년8월에 완성되었고, <태종실록>은 세종 13년인 1431년 3월에 완성되었다. 세종 27년인 1445년에 이들 3대 태조, 정종, 태종 실록을 각기 네 질씩 필시하여,한 질은 서울 춘추관에 기타 세 질은 충주, 성주 및 전주 사고에 각각 보관하도록 하였다. 실록을 활자로써 발간한 것은 <세종실록>때부터였다. 태조는 1408년 5월 24일 창덕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강헌, 존호는 지인계운성문신무, 묘호는 태조이며, 능호는 건원릉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경내에 있다.

 

태조실록의 기록

 

태조의 본관은 전주, 초명은 성계, 자는 중결, 호는 송헌이었으나 조선왕조를 창건하여 왕위에 오른 뒤 이름을 단, 자를 군진으로 고쳤다. 고려 말 동북면의 신훙 군벌이었던 자춘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최한기의 딸이다.

태조의 아버지 이자춘은 1356년인 공민왕 5년 고려의 쌍성총관부 공격 때 내응해 원나라 세력을 축출하는 데 큰 공을 세우고 고려에 복종하였다. 그는 1361년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로 임명되어 동북의 실력자가 되었다. 

이성계는 타고난 군사적 재능을 바탕으로 크게 활약하여 1361년 10월에는 반란을 일으킨 독로강만호 박의를 죽이고, 같은 해 홍건적의 침임으로 개경이 함락되자 이듬해 이를 탈환하는데 앞장섰다. 1362년 원나라 장수 나하추의 대군을 함흥평야에서 격퇴하였다. 이 해에 밀직부사의 벼슬과 단성양절익대공신의 호를 받았고 뒤에 동북면원수지문하성사. 화령부윤 등에 임영되었다. 1337년인 우왕 3년에는 경상도 일대와 지리산의 왜구를 대파하고, 1380년에 양광, 전라, 경상도 도순찰사가 되어, 아지바두의 왜구를 운봉에서 섬멸했다. 1338년에 수문하시중이 되었다.

이 해 최영이 요동 정벌에 나서자 태조는 우군도통사가 되어 위화도까지 종군하였으나, 결국 회군하여 최영을 제거하고 우왕을 페한 뒤 창왕을 옹립했다. 이듬해 다시 창왕을 페하고 공양왕을 옹립한 뒤 수문하시중이 되었다. 1391년에 삼군도총제사가 되었고 전제개혁을 단행하여 구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박탈하였다. 익년 1392년 7월에 공양왕을 강압하여 선양을 받고 새 왕조의 태조로서 즉위했다. 1397년 8월 태조가 병을 앓고 있을 때 다섯째 아들인 방원이 군사를 일으켜 정도전, 남은 등을 죽이고 이복 형제들인 세자 방석과 방번을 죽였다. 이에 태조는 방원의 요청으로 둘째 아들인 방과를 세자로 결정하였다. 태조는 다음 달 왕위를 세자에게 선양하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태조의 태실 이야기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태봉산에 있는 조선전기 제1대 태조의 태를 봉안한 태실이 있다.

태조대왕 태실은 태조 즉위 2년(1393년)에 건립, 본래 태를 안치했던 함경도 용연에서 전라도 완주군 진동현이었던 현재의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로 옮겨오게 된다. 태실을 만드는것 역시 왕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한가지 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후 조선시대 왕자녀의 태실을 전국의 명당에 조성하는 등 왕실에서는 제도적인 태실 문화를 갖추게 된다. 사대부 집안에서도 장태문화가 자리잡기 시작하였으며, 장태법을 제정하고 태장경의 장태법을 따르는 듯 그 기준과 방식이 명확하게 자리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태조대왕 태실은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秋富面) 마전리에 있다.
이곳은 조선 초기에 한 시인이 만인산을 보고 산세가 깊고, 중첩한 산봉우리는 연꽃이 만발한 것 같고 99산의 물이 한곳으로 모여든다고 찬양한 곳이다. 이 소식을 들은 왕실이 이곳에 태조대왕 태실을 축조하였고, 옥계부사를 두어 관리하도록 하였다. 지금도 추부면 장대리에  ‘玉溪府使都’라는 고적이 남아 있고, 비례리(備禮里)의 이름도 그 지점부터 예를 갖추고 태실에 참배하였다는 데서 연유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가 태조대와 태실을 훼손하여 태항아리를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으로 옮겨갔다. 그후 토지 소유자가 남아있던 석비와 석조물도 헐어내고 자기 선조의 묘를 세웠다. 현재의 태실은 1993년 지역 주민들이 이리저리 흩어져 있었던 원래의 석비와 석물을 수습해서 원래 위치에서 약 100m 쯤 떨어진 곳에 복원한 것이다. 태조대왕 태실은 충청남도 지정문화재자료 제 131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태조의 태실에 관한 초기의 기록은 '태실실록'과 '세종실록지리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후 편찬되는 각종 지리지와 읍지에는 만인산 성봉(지금의 '정기봉')에 대한 기록이 추가로 등장한다. '세종실록지리지'(1454년)의 전문을 인용하면, '태조2년 계유년에 태조의 태실을 안치하고 진산군을 '지진주사'로 승격했다. 그리고 태종 13년(1415년)에 다시 군으로 개칭했다'

태조 태실 항아리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가 태조대와 태실을 훼손하여 태항아리를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으로 옮겨갔다. 그후 토지 소유자가 남아있던 석비와 석조물도 헐어내고 자기 선조의 묘를 세웠다. 현재의 태실은 1993년 지역 주민들이 이리저리 흩어져 있었던 원래의 석비와 석물을 수습해서 원래 위치에서 약 100m 쯤 떨어진 곳에 복원한 것이다. 태조대왕 태실은 충청남도 지정문화재자료 제 131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조선왕조를 살펴보면 대왕의 태실은 그 왕의 즉위년에 주로 만들어졌다.
대왕이 재위 기간동안 나라를 잘 다스리느냐, 잘못 다스리느냐는 이 태실에서 비롯된다는 의미를 두었다.
민가에서는 태실을 만들지 못하도록 장태법이 제정되었고, 이는 태실을 건립하는것이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한 부분이었음을 뒷받침 해 준다. 

 

 

728x90

'조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5대 왕 문종의 가족관계  (0) 2020.03.02
정종실록  (0) 2020.03.02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야기  (0) 2020.03.01
태조 이성계, 무학도사를 만난다  (0) 2020.03.01
조선 4대 왕 세종의 가족관계  (0) 2020.02.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