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

태종 이방원 하륜을 만나다.

by 무님 2020. 3. 3.
728x90

하륜은 1347(충목왕 3)∼1416(태종 1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였다.

 

본관은 진주(). 자는 대림(), 호는 호정(). 하공진()의 후예로, 하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식목녹사() 하시원()이고, 아버지는 순흥부사 하윤린()이다. 어머니는 증찬성사 강승유()의 딸이다.

 

1360년(공민왕 9)에 국자감시(), 1365년에는 문과에 각각 합격하였다. 이인복()·이색()의 제자로, 1367년에 춘추관검열·공봉()을 거쳐, 감찰규정()이 되었으나 신돈()의 문객인 양전부사(使)의 비행을 탄핵하다가 파직되었다.

그 뒤 고공좌랑()·판도좌랑()·교주찰방()·제릉서영()·지평·전리정랑()·전교부령지제교()·전의부령()·전법총랑()·보문각직제학·판도총랑()·교주도안렴사(使)·전리총랑()·전교영()·대사성 등의 관직을 거치고, 1380년(우왕 6) 모친상을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

3년 상을 마친 뒤 우부대언·우대언·전리판서·밀직제학을 거쳐, 1385년에 명나라사신 주탁() 등을 서북면에서 영접하는 일을 맡았다. 1388년최영()이 요동()을 공격할 때 이를 반대하다가 양주로 유배되었으나(『태종실록』「하륜 졸기」에 나오는 내용임. 반면,『고려사절요』·『동국통감』등에서는 하륜이 이인임의 인척이었다는 이유로 최영에 의해 양주에 유배된 것으로 기술되어 있음), 위화도회군 이후로 복관되었다.

그리고 그 해 가을 영흥군왕환()이 일본으로부터 돌아왔을 때 그가 가짜임을 밝혔다가 오히려 광주()·울주 등지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윤이()·이초()의 변이 일어나자 의혹이 풀려 1391년(공양왕 3)에 전라도도순찰사가 되었다가 조선이 건국되자 경기좌도관찰출척사가 되어 부역제도를 개편, 전국적으로 실시하게 하였다.

또한, 신도()를 계룡산으로 정하는 것을 반대, 중지시켰다. 1394년(태조 3)에 첨서중추원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

그러나 곧 기복()되어 예문춘추관학사가 되었는데, 때마침 명나라와의 표전문() 시비가 일어나자 명나라의 요구대로 정도전()을 보낼 것을 주장하고 스스로 명나라에 들어가 일의 전말을 상세히 보고, 납득을 시키고 돌아왔다.

그러나 정도전의 미움을 받아 계림부윤()으로 좌천되었는데, 그 때 항왜()를 도망치게 했다 하여 수원부에 안치되었다가 얼마 뒤 충청도도순찰사가 되었다.

그는 이방원()을 적극 지지하여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종이 즉위하자 정사공신() 1등이 되고 정당문학()으로서 진산군()에 피봉되었다.

그리고 그 해 5월 명나라 태조가 죽자 진위 겸 진향사(使)로 명나라에 가서 정종의 왕위계승을 승인받아 귀국, 참찬문하부사·찬성사·판의흥삼군부사 겸 판상서사사·문하우정승()을 거쳐 진산백()으로 봉해졌다.

이 해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 1등이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했다가 영삼사사()로서 지공거()가 되고 관제를 개혁하였다. 그리고 영사평부사 겸 판호조사()로서 저화()를 유통시키게 하였다.

1402년(태종 2)에 의정부좌정승 판이조사()로서 등극사(使)가 되어 명나라 성제()의 즉위를 축하하고 조선의 고명인장()을 받아가지고 돌아왔다.

그리하여 1405년에는 좌정승 세자사()가 되고, 다음 해에는 중시독권관()이 되어 변계량() 등 10인을 뽑았다. 그 뒤 영의정부사·좌정승·좌의정을 역임하고 1416년에 70세로 치사(), 진산부원군()이 되었다.

그는 태종의 우익으로 인사 청탁을 많이 받고 통진 고양포()의 간척지 200여 섬 지기를 농장으로 착복, 대간의 탄핵을 받았으나 공신이라 하여 묵인되었다. 치사한 뒤에도 노구를 이끌고 함경도의 능침()을 돌아보던 중, 정평군아()에서 죽었다. 인품이 중후, 침착, 대범하였다.

저서로 문집 『호정집()』 약간권이 있다. 태종의 묘정()에 봉안되었다. 후대에 그를 한나라의 장자방(: ), 송나라의 치규()라 일컫기도 하였다. 시호는 문충()이다.

 

태종시대 공신 하륜

조선왕조 태종 때 문신인 하륜의 무덤을 비롯한 6기의 무덤들으로 해발 120m의 야산에 위치한다.

하륜(1347∼1416)은 고려 말 이색의 제자로 요동정벌을 반대하였으며 조선왕조가 건립될 때 계룡산에 도읍을 정하는 것을 반대하기도 하였다. 이방원을 도와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고, 태종의 즉위를 도와 1등공신에 등록되었다. 벼슬은 영의정부사까지 올랐고, 한나라 장자방과 비유되기도 한다.

이 지역에는 하륜의 무덤을 비롯하여 그의 할아버지 하시원, 할머니 진양정씨, 아버지 하윤린, 어머니 진양강씨 등 진양 하씨의 집안무덤이 있다. 할아버지 무덤을 비롯한 4기의 무덤은 장방형으로 둘레돌(호석)을 둘렀다.

이 무덤은 하륜을 비롯한 3대의 무덤이 한곳에 있어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무덤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유적지이다. 또한 하륜의 무덤도 팔각형의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어, 조선 초기 무덤연구에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