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

태종 이방원, 외척과 공신을 제거하다.

by 무님 2020. 3. 3.
728x90

정비 원경왕후는 조선 초 문하우정승()을 지낸 민제()의 딸로서 태종이 등극할 때까지 여장부로서 명석하게 내조를 잘했다. 그런데 왕위에 등극한 뒤 태종은 잉첩( : 곁에서 모시는 시녀)들만 가까이하였다. 이에 원경왕후가 투기를 보이자 불화가 잦아지게 되었고, 두 사람 사이에 틈이 벌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와중에 외척 세력으로서 아버지 민제와 왕비인 원경왕후의 권세를 믿고 활개를 치던 민씨 형제들이 탄핵을 받게 되었다. 즉, 궁중에 들어가 종친에게 무례할 뿐 아니라 종친간에 이간을 꾀하였다는 혐의로 개국·정사()·좌명() 등 삼공신의 탄핵을 받게 된 것이다.

1407년(태종 7) 가을 삼공신이 모여 민무구·무질() 형제를 논죄할 때 판예빈시사() 박은()이 병으로 불참하자 대간()은 박은을 민무구 형제의 당이라고 지적하면서 잡아 가둘 정도였다. 그러나 박은은 곧 석방되었다.

다음 해 간관들이 대사헌 박은과 장령() 신간()에게 민무구 형제의 논죄를 천연시켰다는 이유로 죄줄 것을 청하자, 태종은 노해 신간을 귀양보내고 박은을 좌천시켰을 뿐 민무구 형제의 논죄는 거론하지 않았다. 이것은 장인인 민제의 후덕함 때문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민제가 죽자 1409년 정부 및 삼공신들이 민무구·무질 형제를 비롯해 여당인 이무()·윤목()·유기()·조희민()·이빈()·강사덕() 등의 처형을 강력히 청하고 나섰다. 이에 태종은 민무구 형제를 해도()에 부처()하게 하고, 나머지 죄인에 대해서도 주청한 대로 시행하도록 하였다.

그 뒤 1410년 태종은 종친과 정부의 강력한 주청에 따라 민무구·무질 형제를 자진()하도록 하였다. 얼마 뒤 민무휼()·민무회()가 누이인 원경왕후가 병환으로 눕게 되자 문안차 입궐하였다가 세자인 양녕대군()에게 두 형의 억울함을 호소한 것이 정가에 전파되어 국문을 받은 뒤 원지로 부처되었다.

그 뒤 1416년 정부의 강력한 주청으로 민무휼·무회 형제도 사사되고 처자들은 먼 지방에 안치됨으로써 여러 해 동안 끌었던 민씨 형제에 관한 옥사가 끝이 났다. 이 옥을 계기로 민제의 4형제는 외척의 몸이 된 것이 화근이 되어 오히려 비참한 희생을 당하였다. 이들이 숙청당하게 된 것은 태종의 왕권 강화책과 무관하지 않다.

즉 외척 세력의 대두를 억압하기 위한 경종임에 틀림없었다. 그러나 이 옥은 또한 태종과 원경왕후의 불화가 사건 자체를 확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희생만으로 그친 것이 아니고 고려구가세족() 등의 관계로 얽혀서 많은 사람들이 연관되어 격렬한 정치 파동을 일으켰던 큰 사건이었다

 

 

또항 태종은 '제1차 왕자의 난'과 '제2차 왕자들의 난' 때에 공신들의 힘에 의해 반란군을 진압했고, 그들의 공에 의해 마침내 왕위에 올랐다. 태종은 왕위에 오른 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공신들과 재상들이 거느린 사병을 없애 군사권을 장알하였다. 그리고 그는 왕권에 도전할 염려가 있는 공신들을 없애려고 마음을 먹었다.

 

그 첫 번째 목표는 이거이었다. 그는 태조 때 평아도병마도절제사. 참지문하부사. 판한성부사 등을 역임했고 태종 즉위에공신으로 책록된 사람이다. 그리고 그의 아들은 태조의 큰 딸 경신공주와 혼인했고, 다른 아들 이백강은 태종의 큰딸 정순공주와 혼인한 왕실과 사돈관계이었다. 태종이 세자로 있을 때 사병혁파를 실시할 때 이거이 부자만이 따르지 않았고 다른 공신들은 모두 협조했다. 이떄 이거이부자는 사병들을 다른 사람보다. 많이 거느리고 있어 태종으로서는 눈엣가시였다. 

"이거이 부자가 사병을 내놓기를 아깝게 생각하고 내놓지 않으니 마땅히 처벌해야 합니다." 라고 조정의 대신들이 들고 일어났으나 세제였던 태종은 이거이를 계림부윤으로 그의 아들 이저를 완산부윤으로 좌천시켰다. 그러나 얼마 뒤 그들 부자는 조정에 돌아왓고 태종이 왕위에 오른 뒤 좌명공신에 책록되었다.

 

태종4년 그들 부자는 서인으로 신분이 강등되어 유배의 길에 올랐다. 이때 태종은 종친인 작은아버지 이회와 사촌인 이천우 등을 불러   " 조영무가 나에게 말하기를 신이 이거이의 집에 찾아가자 이거이가 신에게 말하기를 '우리들의 부귀가 지극하다. 그것을 보존하기는 예부터 어려우니 우리가 일찍이 도모해야 한다. 금상은 아들이 많지만 어찌 그들이 우리들을 돌보겠는가. 금상을 없애고 상왕을 다시 모시는 것이 좋겠다 하였습니다.' 조영무로부터 이 말을 듣고 누설하지 않도록 한 것이 벌써 4년이 지났다."

태종은 이렇게 말하고 나서 이거이와 조영무를 대질시켜 사실 여부를 확인하려고 마음먹었다. 이때 이화 등을 미롯한 조정의 대신들이 이거이의 죄를 밝힐 것을 주장했다.

 

이리하여 마침내 조영무와 이거이의 대질이 이루어졋으나 이거이는 그 사실을 부인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을 해명하지 못해 이거이 부자는 진주로 내려보냈다가 조정의 대간들의 요청으로 서인으로 강등되어 유배의 길에 올랐다. 이거이 부자가 조정에서 사라지자 다음의 목표는 원경왕후의 동생들인 민무구. 민무질이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태종을 왕으로 추대한 하륜선생의 호정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