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무님의 여행이야기 <한양 성곽길과 길상사>를 소개 합니다.
한양 도성은 서울 한양도성[사적 제10호]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도읍지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그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이다. 태조 5년(1396),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축조한 이후 여러 차례 개축하였다. 평균 높이 약 5~8m, 전체 길이 약 18.6km에 이르는 한양도성은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1396~1910, 514년) 도성 기능을 수행하였다.
한양도성에는 4대문과 4소문을 두었다. 4대문은 흥인지문 · 돈의문 · 숭례문 · 숙정문이며 4소문은 혜화문 · 소의문 · 광희문 · 창의문이다. 이 중 돈의문과 소의문은 멸실되었다. 또한 도성 밖으로 물길을 잇기 위해 흥인지문 주변에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을 두었다.
서울 한양도성은 오백여 년 동안 조선왕조의 도읍으로 궁궐, 관청, 종묘·사직과 도성 백성의 보호막으로 나라의 중심이자 도읍의 상징이 되었다. 한양도성은 고대 고구려 평양성과 고려 개성에서 보이는 평지성과 산성을 융합한 독창적 한국형 도성 제도를 계승하고, 동아시아 유교 질서와 상징체계를 반영한 계획도시이다. 1396년 전국 수십만 명을 동원하여 건설된 한양도성은 세종, 숙종 연간에 개축하여 오늘에 이르며 그 축성과정이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의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성벽에는 시기별 축조기술의 변화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내사산의 능선과 평지를 아우르는 한양도성은 풍수지리 사상을 반영하여 지형과 조화롭게 건설되었으며, 도성 사람들의 놀이 장소이자 문학·회화·민속의 배경의 되어 왔다. 오늘날 한양도성은 천만 도시 서울이 품은 역사유적으로 자연 속의 도시경관과 도시 속의 역사경관이 조화를 이루며 600여 년 역사를 지켜오고 있다. 또한 조선왕조 오백여 년 동안 수축과 수리의 과정을 통해 지속해서 관리되어왔다. 그 과정을 통하여 시기별로 구별되는 재료와 축조기술이 성곽의 형태와 디자인으로 드러나 있어서 오백 년의 역사적 층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지형과 일체화된 구조물로서의 존재 방식을 유지하고 있어서, 내사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성곽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2008년 서울 한양도성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숭례문이 방화로 부분 소실되었는데, 기존의 실측기록을 토대로 장인기술에 의하여 전통기법으로 복원되었다. 흥인지문과 더불어 도성의 성문 건축물의 원형과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로 지정되어있는 서울 한양도성은 내사산의 지세와 함께 잘 보존되어있어서, 성곽의 입지 및 제도, 성곽축성기술, 성곽시설 등이 잘 보존되고 있다. 현대 서울의 도심에 위치하고 있으면도 도성 경계로서의 역사적 가치와 장소적 의미가 잘 보존되고 있다.
길상사는 절이지만 여느 절과는 분위기가 다르다. 길상사는 원래 서울의 고급 요정인 <대원각>이었다고 한다. 이 곳의 주인이었던 길상화 김영한님이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감명을 받아 대원각을 절로 만들어 주기를 원하며 시주하여 절집이 되었다고 한다. 김영한은 서울에서 태어나 열 여섯살에 집안이 몰락하자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스스로 한성 기생이 되었다고 한다. 스물 세살이 되던 해에 김영한은 흥사단과 조성어학회에서 활동했던 스승 신윤국의 도움으로 일본 도쿄로 유학을 떠났으나 스승이 투옥돼;ㅅ다는 소식을 듣고 귀국하였다. 그리고 이때 시인 백석과 운명적인 만남을 갖게 되지만 백석의 집안에 반대로 백석의 곁을 떠나게 된다. 그리고 대원각을 운영하게 되는 삶을 살았다고 한다.
길상사의 절집은 아주 고급스럽고 운치가 있다. 길상사엔 법정 스님이 계셨던 진영각이 있다. 절의 위쪽으로 올라 작은 나무문을 지나면 두어칸 작은 절집이 법정 스님이 계셨던 곳이다. 그 마당 한 켠에는 법정 스님의 유골을 모신고도 함께있다. 길상사에서 가장 특별한 찾으라고 한다면 관음보살상을 들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보던 것과 달리 세련되고 고운 선을 가지고 있는 관음보살상은 천주교 신자인 조각가 최종태님이 봉안하 석상으로 종교간 화해의 염원이 담기 관음상이라고 한다.
몸이 참 고된 하루였는데 마음은 한없이 풍요로운 날이였다. 성곽길의 여유로움과 고요함이 행복했고 길상사의 아름다운과 그 속에 담겨 있는 어느 여인의 인생과 그 생을 고스란히 품어 준 어는 스님의 마음이 느껴져 감동적이였다. 길상사는 단아하고 위엄있고 영험한 절은 아니겠지만 그 속에 품고 있는 많은 뜻들은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 절이란 생각을 한다.
'무님의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산을 아름답게 만드는 절 < 마곡사 > (0) | 2020.07.09 |
---|---|
비 오는 낙산해수욕장을 걸어요 (0) | 2020.07.07 |
1박2일 혼자 떠나는 < 여수여행 > (0) | 2020.06.30 |
마음을 열고 오르는 < 개심사 > (0) | 2020.06.29 |
가슴으로 글을 쓴 소설가 <김유정 문학촌> (0) | 2020.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