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인물 사전

' 나는 조선의 국모다 ' 명성황후 < 민자영 >

by 무님 2020. 11. 7.
728x90

드라마  < 명성왕후 >

 

 

 

명성왕후는 조선후기 제26대 고종의 왕비이다.

명성황후는 1851년(철종 2)에 경기도여주에서 부친 민치록(祿)과 모친 한창부부인 이씨 사이에 태어났다. 8세 때 부친이 타계한 뒤, 어머니와 함께 서울의 감고당()에 와서 살았다. 감고당은 인현왕후()의 친정집이었다. 1863년(철종 14) 철종이 타계하자, 조대비의 명에 의해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이명복()이 국왕으로 옹립되었다. 3년 뒤인 1866년 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 민씨의 역할에 의해 16세 때 왕비로 간택되었다.

고종 즉위 이후 10년 동안은 어린 국왕을 대신하여 흥선대원군의 섭정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성년이 되면서 직접 정사를 보고자 하는 고종의 욕망과 이를 지지하는 척족 인물들과 재야의 여론에 의해 흥선대원군이 하야하게 되었다. 이후 고종과 왕비는 개화정책을 추구하였으나, 안에서는 보수유생, 구식군대, 급진개화파, 동학농민군의 도전에 직면하였고, 밖으로는 청국의 강화된 내정간섭으로 국정이 표류하였다. 이런 혼란 속에 명성황후는 임오군란() 당시 궁중을 탈출했다가 환궁하였고, 갑신정변() 당시는 기지를 발휘하여 거사를 무위에 그치게 하는데 일조하였다.

이후 동학농민군의 봉기를 틈타 일본이 무단으로 조선에 파병하여 경복궁을 침략, 조선 조정을 장악하면서 고종과 명성황후는 궁중에 연금된 상태가 되었다. 이후 조선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하였으나, 러시아 주도의 삼국간섭에 의해 동북아 정세가 급변하였다. 이때 명성황후는 러시아에 대한 접근을 통해 군주권 회복을 추구하였고, 조선 보호국화가 좌절된 일본정부는 미우라 고로[]를 주한공사로 파견하였다. 이처럼 내외의 격동 속에 고종을 적극 내조해 왔으나, 이로부터 한 달 여 뒤 일본의 공권력 집단이 경복궁을 습격하여 명성황후를 야만적으로 살해하였다.

사건 직후 일본 정계의 요인과 외교관, 기쿠치 겐죠[] 등 언론인은 명성황후가 부패의 화신으로서 조선을 망친 ‘궁중의 암탉’이며, 이 사건을 흥선대원군과 조선군 훈련대의 범죄로 덮어 씌웠다. 미우라 공사는 ‘흥선대원군의 요청에 응하여 군대를 동원하였으나 궁궐에 도착해 보니 사건은 일단락된 뒤였다. 이 사건과 일본 군민은 무관하다’하였다. Japan Daily Mail 등 일본의 영자신문은 이 사건을 ‘중세의 야만왕조’인 조선 궁중의 암투에서 빚어진 것으로 호도하였다. 이런 사실의 왜곡은 일제하에도 지속되었다.

명성황후를 직접 대면했던 서양 외교관과 선교사의 부인 혹은 비숍 같은 영국인 여행가의 기록은 일본 측과 달리 명성황후에 대한 긍정적 서술이 적지 않다. 명성황후는 궁중 여성으로서는 동양의 고전에 밝았고, 서양의 종교와 풍속, 정치와 의회제도, 여성의 교육과 지위 등에 관심이 지대하였다. 한편 지적이고 개화된 궁중 여성이기도 했다. 명성황후는 유가적 소양과 서양의 문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과 왕실, 군주와 국가의 활로를 추구하던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국모’이자 근대형의 여성정치가로서 재평가되고 있기도 하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그해 11월, 청량리의 홍릉()에 장례를 치렀다가 1919년 고종의 장례 때 경기도남양주금곡의 홍릉에 합장되었다.

 

 

 

 

* 조선왕조실록  < 명성왕후 승하 그날의 기록 >

왕후의 승하를 반포하다

 

조령을 내리기를,

"지난번 변란 때에 왕후(王后)의 소재(所在)를 알지 못하였으나 날이 점차 오래되니 그 날에 세상을 떠난 증거가 정확하였다. 개국(開國) 504년 8월 20일 묘시(卯時)에 왕후가 곤녕합(坤寧閤)에서 승하(昇遐)하였음을 반포하라."

하였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