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녕대군4

신하들은 세 번 이상 간하지 말라. 조선 시대는 왕과 신하들의 말싸움의 연속이었다. 말싸움에 지친 태종은 급기야 16년 6월 교지를 내려 신하들이 한 가지 사안을 세 번 이상 간하지 못하도록 하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세 번이나 간하여도 듣지 않으면 가 버린다는 것은 옛 법이다. 지금 대소 신료와 대간과 형조에서 간언과 상ㅇ소를 세 차례 이외에 난잡하게 신청하는 것은 예 제도에 어긋난다. 또 여러 사람들이 보고 듣는 데에는 심히 좋지 않다. 이제부터 이와 같은 사람이 있으면 교지부종으로 처벌하라." "모든 진언과 상소는 세 번 간하고 즉시 그친다. 세 번 간하여도 듣지 않으면 물러가고, 서 번이나 간한 뒤에 다시 간하는 자는 처벌한다." 교지부종이란 교지를 따르지 않은 죄를 말한다. 이러한 왕명이 나오 이유는 사헌부와 사간원의 관원, .. 2020. 8. 11.
태종의 장자, 양평대군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태종의 장남이며 세종의 형이다.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궁중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여 폐위되고, 그 뒤 전국을 누비며 풍류를 즐겼다. 시, 서에 능하였다. 이름은 이제(李禔). 자는 후백(厚伯). 태종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여흥 민씨로 민제(閔霽)의 딸이며, 부인은 광주 김씨(光州金氏)로 김한로(金漢老)의 딸이다. 1394년(태조 3)에 태어났을 때 아버지 이방원(李芳遠)은 정안대군(靖安大君)이었지만, 6년 뒤 조선의 제3대 국왕으로 등극했다. 양녕대군에게 이런 변화는 수많은 왕자군(王子君)에서 독존의 지위를 예약하는 엄청난 행운의 도래였다. 기록되지 않은 사소한 실행(失行) 은 분명히 있었겠지만, 적어도 공식적으로 양녕대군은 이때부터 20세 무렵까지 매우 순조로운 성장과정을 거쳤다. .. 2020. 3. 26.
태종의 외척이자 공신, 민무구, 민무질 비극 민무구는 1410(태종 10)년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여흥(驪興). 민적(閔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민변(閔忭)이고, 아버지는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민제(閔霽)이며, 어머니는 송선(宋璿)의 딸이다. 태종비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동생이다. 동생 민무질(閔無疾) 등과 함께 태종의 외척이며, 정사(定社)·좌명(佐命)의 두 공신을 겸하여 높은 권세와 부귀를 누렸다. 그러나 협유 집권(挾幼執權)의 혐의를 받아 많은 관련자와 함께 참화를 당하였다. 즉, 1402년 왕이 창종(瘡腫)을 앓아 고생하고 있을 때 그들이 몰래 병세를 엿보며 어린 세자를 세우고 권력을 잡으려는 음모를 꾸몄다는 것이다. 민무구 형제의 옥은 1407년(태종 7) 7월에 발생하였다. 그런데 이미 1406년 8월 태종이 세자 양녕대군(.. 2020. 3. 26.
조선 3대 왕 태종 이방원의 가족관계 태종의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다섯번째 아들로 왕자의 난을 두번이나 일으키며 권력을 장악하고 둘째형 정종을 왕위에 올리지만 2년 뒤엔 정종을 상왕에 앉히고 왕이 되는 인물이다. 그에게는 왕비 1명과 후궁 9명 자녀가 12남 17녀가 있었다. 그는 많은 자식 중에 세째아들 충녕대군(세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다. 원경왕후 민씨는 1365년 태어나서 1420년에 죽었다. 원경왕후 민씨의 본관은 여흥이며, 여흥부원군 민제의 딸로서 1365년 여흥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1382년 조선왕조가 창건되자 정녕옹주에 봉해졌다. 1400년 2월 방원이 세제에 책봉되자 세자빈으로 정빈에 봉해졌으며, 이 해 11월 방원이 조선 제3대 왕으로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다. 태종보다 두 살 위인 민씨는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 2020.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