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이야기284

조선 4대 왕 세종의 가족관계 세종에게는 1명의 왕비와 5명의 후궁이 있었다. 그의 자녀는 18남 4녀로 첫째 아들 문종이 5대 왕이 된다. 그리고 그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이 조선 7대 왕이 된다. 왜~~~ 세종의 아들 수양대군이 7대 왕이 될 수 있었던 걸까? 그 이야기는 아주 비극적이고 슬픈 사연이 있다. 세종의 뛰어난 왕이 였던 만큼 그의 장남 문종 또한 학식이 뛰어났다. 하지만 그 밑의 동생들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또한 매우 뛰어났던 인물들도 평가가 된다. 그리고 세종은 자식들 모두에게 정치적 입지를 다질 기회를 준다. 이것이 비극의 시작이 아니였을까 싶다. 소헌왕후 심씨는 1395년에 태어나 1446년에 죽었다. 세종의 정비 소헌왕후 심씨는 영의정 심온의 딸이다. 1408년 충녕군 이도와 가례를 올리고 경숙옹주에 봉해졌다. 1.. 2020. 2. 29.
조선 3대 왕 태종 이방원의 가족관계 태종의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다섯번째 아들로 왕자의 난을 두번이나 일으키며 권력을 장악하고 둘째형 정종을 왕위에 올리지만 2년 뒤엔 정종을 상왕에 앉히고 왕이 되는 인물이다. 그에게는 왕비 1명과 후궁 9명 자녀가 12남 17녀가 있었다. 그는 많은 자식 중에 세째아들 충녕대군(세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다. 원경왕후 민씨는 1365년 태어나서 1420년에 죽었다. 원경왕후 민씨의 본관은 여흥이며, 여흥부원군 민제의 딸로서 1365년 여흥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1382년 조선왕조가 창건되자 정녕옹주에 봉해졌다. 1400년 2월 방원이 세제에 책봉되자 세자빈으로 정빈에 봉해졌으며, 이 해 11월 방원이 조선 제3대 왕으로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다. 태종보다 두 살 위인 민씨는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 2020. 2. 29.
조선 2대왕 정종의 가족관계 태조 이성계의 둘째 아들 정종응 왕비 1명과 후궁 9명 자녀가 17남 8녀가 있어다고 한다. 재위기간은 2년정도 되지만 그는 상왕으로 물러 난 19년동안 권력에 욕심을 부리지 않고 조용히 살았다고 한다. 정종은 아내 정안왕후를 사랑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정안왕후와의 사이에서는 자녀가 없었다. 고려 말에도 아내 정안왕후 김씨와의 젊은 시절부터의 정 때문에 아내를 더 얻을 수 없다 하여 평생 해로한 애처가이기도 하다. 상왕으로 물러난뒤 태종이 원경왕후 민씨와의 사이가 극도로 나빠져 원경왕후에게 후궁 관할권을 빼앗고 후궁을 더 들인다며 수선을 떨자, 상왕 정종이 "금상(현임, 즉 재위 중인 왕)은 어찌하여 다시 장가들려고 하시오? 내 비록 아들이 없어도, 소시(少時)의 정(情)으로 인하여 차마 다시 장가들지 .. 2020. 2. 29.
조선을 건국한 왕 태조의 가족관계 태조는 왕비 2명, 후궁 4명, 자녀 8남 5녀 두었다. 그의 정비 신의왕후 한씨의 둘째아들 영안대군이 조선2대 왕인 정종이며, 다섯째 아들 정안대군이 조선 3대 왕인 태종이 된다. 하지만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세자에 올렸던건 그가 사랑했던 신덕왕후 강씨의 아들 의안대군이었다. 하지만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태종 이방원. 정안대군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신의왕후 한씨는 1337년 출생하여 1391년에 사망했다. 태조의 첫째 부인이자 정비인 신의왕후 한씨의 본관은 안변으로 밀부사 증영문하부사 한경과 신씨에게서 태어났다. 그녀는 이성계가 아직 벼슬하지 못하던 때에 결혼하여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창건하고 왕으로 등극하기 1년 전인 1391년 55세에 세상을 떠났다. 한씨 소생으로 방우. 방과. 방의. 방간... 2020. 2. 29.
정도전 태조 이성계와 만나다 정도전은 조선 건국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되는 격동의 시기에 역사의 중심에서 새 왕조를 설계한 인물이었다. 정도전의 자는 종지이고, 호는 삼봉이며 안동 보오하 출신으로 형부상서 정윤경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고려 공민와 9년에 19세로 성균관 시험에 합격하고 이듬해 과거에 급제한 뒤 벼슬이 점차로 올라 통례문 지후에 이르렀다. 정도전의 집안은 본래 봉화 지역의 향리였다. 고려 시대까지 향리는 우리가 아는 조선조의 향리와는 그 격이 달라, 지방의 토착세력을 말한다. 정도전 집안은 경상도 봉화지역의 토착세력인 셈이다. 정도전은 공민왕의 유학 육성 사업에 참여해 성균관 교관에 임명되었다. 이때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정몽주∙이숭인 등도 .. 2020. 2. 29.
성종의 업적 조선의 9대 왕 성종은 모범적인 왕이였다.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고도 학문에 매진하였으며 할머니 정희왕후의 수렴청정이 끝난 후에도 학자들과 경연을 매일 하였다고 한다. 그런 성종이 이루어낸 업적은 조선 정치제도의 기틀이 된다.\ 성종의 할아버지 세조는 어린 조카 단종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 세조는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세종이 만든 집현전을 없앤다. 집현전 학자들의 경연은 왕권을 강화하고 픈 세조에겐 불편한 일이였던 것이다. 하지만 성종은 왕이 신하들과 학문을 토론하는 경연을 부활시킨다. 그런데 어린 왕 성종이 열심히 공부를 하였더라도 조선 최고의 석학들과 토론하고 학문을 논하는 건 조금 부담스러운 일이였다. 그래서 학문을 연구하는 기관인 홍무관을 설치한다. 성종은 경연제도를 부활시키고 홍문관을 설치하.. 2020. 2. 28.
조선 9대 왕 성종 - 이혈 성종은 조선의 7대 왕 세조의 첫째 아들인 의경세자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공신 한확의 딸 소혜왕후 한씨였다. 성종은 선대왕이던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이 있었고, 동북형 월산대군이 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왕위 계승 서열 3위였으나 13세의 나이로 갑자기 왕위에 오르게 된다. 조선의 9대 왕인 성종은 8대 왕인 예종의 조카이다. 예종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왕실에서는 왕을 세우는 일이 시급해졌다. 당시의 왕위 계승 서열은 첫째가 예종의 아들인 제안대군이었고 둘째가 예종의 형인 의경세자의 장남 월산대군이었으며 셋째가 의경세자의 차남 자을 산군(성종)이었다. 원래대로라면 예종의 아들인 제안대군이 다음 보위에 올라야 했으나 제안대군의 나이가 3세밖에 안되었기에 세조의 장남이었던 의경세자의 아들들이 후보 주목.. 2020. 2. 28.
예종의 짧은 재위기간 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예종은 형인 의경세자가 비명횡사를 하자 세자에 자린에 오른다. 세조가 사망하고 성인이 되기전인 예종은 어머니 수렴청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가 왕이 되어 승하하기까지의 재위기간은 1년 3개월이 된다 아버지 세조처럼 강력한 왕권을 추구하려 했던 예종은 어지러운 시국에서도 뜻을 펼치려 애를 썼으나 오래가지 못하게 된다. 아버지 세조 때 일어난 계유난 이후 형성된 원훈세력(구공신)과 이시애의 난 이후 성장한 세력 신공신의 갈등으로 어지러웠던 시국이였으며 세조가 죽기전 어린왕을 걱정하 여 시행한 원상제 실시로 인해 신하의 권력이 강해졌기 때문이었다. 원상제란 어린 임금이 즉위했을 때 제상들이 임금을 보좌하는 것을 말한다 이시애의 난으로 세력을 키우게 된 신공신의 세력의 중심엔 남이가.. 2020. 2. 28.
조선 8대 왕 예종 - 이황 예종은 조선 7대 세조의 둘째아들로 출생했다. 세조의 장남이었던 의경세자가 장성한 후에 태어났기에 예종은 왕위계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런데 맏형인 의경세자가 요절을 하게 되므로 세자에 자리에 오른게 된 것이다. 예종은 성인이 되기 전인 19세에 왕위에 올랐기에 어머니인 정희왕후가 수렴청정을 한다. 예종이 왕위에 오른 것은 1468년, 19세의 나이였다. 예종은 세자였던 1460년에 11세의 나이로 한명회의 딸인 장순왕후 한씨를 아내로 맞이한다. 한명회의 딸 한씨의 나이 16세였다. 그리고 혼인을 한 다음해인 1461녕에 아들 인성대군을 낳게 된다. 즉, 12세의 소년이 아버지가 된 것이다. 조선 왕조의 가장 나이에 아버지가 된 것이다. 하지만 아들을 낳은 장순왕후는 산후병으로 사망을 하고 아들인 의성대.. 2020.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