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인물 사전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by 무님 2020. 10. 10.
728x90

1. 정성근 - 조선전기 해주목사, 경기도경차관, 좌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이신(而信)·겸부(兼夫). 정자순(鄭子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설(鄭舌)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정척(鄭陟)이다. 어머니는 이양몽(李養蒙)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 수찬으로 경연관(經筵官)을 겸하였다. 1481년 부교리로서 승지의 업무를 맡을만한 인물로 추천되었고, 경차관(敬差官)으로 경기도에 파견되어 교동현의 유민(流民)을 진휼하였다. 이듬해에는 홍문관부응교로서 구황적간(救荒摘奸)하기 위해 전라도에 파견되었으며, 1483년 황해도경차관이 되었다.

그 뒤 홍문관전한을 거쳐 대마도선위사(對馬島宣慰使)로 파견되었다. 1487년에는 시강관으로 경연에서 용인(用人)의 법도를 지켜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 해 직제학이 되었다. 그가 선위사로 대마도에 갔을 때, 대마도주가 주는 화선·호초(胡椒) 등을 모두 되돌려주기도 하였다. 그 뒤에 도주가 그 물건을 또 특별히 보내와서 나눠주게 했으나, 그가 완강히 사양하여 왕은 그 물건을 도로 대마도에 돌려보냈다.

그 뒤 해주목사를 거쳐 1490년 반우형(潘佑亨)·표연말(表沿沫) 등과 함께 사유(師儒)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이어서 경기도경차관·우부승지를 거쳐 좌부승지에 이르렀는데, 이 때 해주목사로 재직할 때의 부정으로 탄핵을 받자 사직을 청하였다. 1494년 성종이 죽자 3년 동안 수묘했으며, 1495년(연산군 1) 행호군으로 한직에 물러나 있다가 다시 정계에서 축출되었으나, 1497년에 다시 서용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군기시(軍器寺) 앞에서 참수되었으나, 중종 즉위 후에 신원(伸寃) 01) 되고, 그의 충효로 아들이 녹용(錄用)되었다. 1507년(중종 2)에 이조참판에 추증되고, 정문이 내려졌다. 또한,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광주(廣州)구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절(忠節)이다.

 

 

참 스승이었던 조지서

 

 

2. 조지서 -조선전기 지평, 보덕, 창원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임천(林川). 자는 백부(百符), 호는 지족정(知足亭) 또는 충헌(忠軒). 조익(趙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직장(直長) 조민원(趙敏原)이고, 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조찬(趙瓚)이다. 어머니는 생원 정참(鄭叅)의 딸이다.

1474년(성종 5) 생원시에서 1등으로 합격하고, 같은 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면서, 권지승문원정자에 제수되었다. 1478∼1479년에는 통신사 이계동(李季仝)의 군관(軍官)이 되어 일본에 내왕하였다. 1479년 승문원저작으로 다시 문과중시에 1등으로 급제하고 형조좌랑에 발탁되었다.

이 해 건주위(建州衛) 정벌을 위하여 파견된 서정대장(西征大將) 어유소(魚有沼)의 종사관이 되어 서정에 참가했으나, 어유소의 파병(罷兵)과 관련된 전명(傳命)을 잘못하여 고신을 몰수당하고 외방에 유배되었다. 그 뒤 1481년 “문학에 뛰어난 인물이니 서용하라.”는 성종의 특지에 따라 서반직에 복직된 뒤 교리·형조정랑·지평·응교, 세자시강원필선·보덕을 역임했으며, 이와 함께 경연(經筵)의 시독관(侍讀官)과 시강관(侍講官)을 항상 겸대하였다.

이어 1495년(연산군 1) 창원부사로 파견되었다가 곧 사직하고, 지리산에 은거하여 학문에 전념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 세자시에 그의 풍간(諷諫)함과 집요한 진강(進講)을 혐오했던 연산군의 기휘(忌諱)로 이에 연루되어 참살되었다. 성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충효와 시문으로 명망이 높았다. 『동문선』에 「언심견투(彦深見投)」라는 제목의 시 1수가 전한다.

1506년 (중종 1) 관작이 회복되고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추증되면서 신원(伸寃)주 01)되었다. 경상남도 진주의 신당서원(新塘書院)에 제향되었다.

 

 

3. 한치형 - 1434(세종 16)∼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형지(). 한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영정()이고, 아버지는 한절(+)이며, 어머니는 중군총제() 조서()의 딸이다.

1451년(문종 1) 18세로 군직에 음보()된 뒤 감찰·장령·사복시소윤()을 거쳐, 1467년(세조 13) 장례원판결사가 되었다. 같은 해 5월 좌부승지에 오르고 이어 우승지·좌승지를 거쳐, 그 해 12월 이조참판에 특승되었다.

1468년예종 즉위 직후에 함길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이듬해 다시 호조참판이 되었으며, 성종이 즉위한 뒤,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대사헌이 되었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 3등에 책록되고 청성군()에 봉하여졌으며, 형조판서에 승진되었다. 그 뒤 개성부유수·경기도관찰사·한성부판윤, 호조와 병조의 판서를 거쳐, 1481년 좌참찬에 올랐다. 연산군이 즉위한 직후 좌찬성으로 대사헌을 겸하였고, 우의정을 역임한 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에는 좌의정으로서 유자광()·노사신() 등과 함께 사화에 깊이 관여하였다.

1500년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죽은 뒤인 1504년 갑자사화 때, 일찍이 그가 연산군의 생모인 윤비()를 폐출시킨 모의에 가담하였다 하여 윤필상()·한명회() 등과 함께 부관참시되고 일가가 몰살되었으며, 중종반정 후 신원되었다. 그의 고모가 명나라 성조()의 비()가 된 관계로 성종 때에 주청사(使)·성절사(使)·사은사(使) 등으로 여러 차례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황제의 은총을 받았다. 시호는 질경()이다.

 

728x90

'조선 인물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종시대 관련 인물  (0) 2020.10.12
중종시대 관련 인물  (0) 2020.10.11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0) 2020.10.05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0) 2020.09.27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0) 2020.09.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