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벌론5

청나라에 파병을 <나선 정벌> 나선 전쟁이란 조선 효종 때 연해주 흑룡강 방면으로 남하하는 러시아 세력을 조선군사(총수병)가 청나라 군사와 함께 정벌한 일을 말한다. 나선(羅禪)은 러시아(Russia)를 지칭한다. 조선 효종 때 연해주 흑룡강 방면으로 남하하는 루스 차르국에 대항하여 청나라와 조선 연합군이 벌인 전투. 나선정벌은 한국에서만 쓰이는 용어로 중국과 러시아 모두 '청-러시아 국경분쟁'을 표제어로 쓰고 있다. 나선 전쟁의 배경은 킵차크 칸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독자적 세력을 구축하던 모스크바 대공국을 이어 루스 차르국(이하 러시아)은 이반 4세 때 유럽으로 진출하고자 리보니아 전쟁을 벌였으나 실패하자 세력을 기르기 위해 모피무역을 선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보니아 전쟁 이전 시베리아 진출이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자 러시아 정부는.. 2020. 6. 14.
효종에서 숙종으로 < 북벌론 > 조선의 군사력을 길러 청을 정벌하자는 주장이다. 효종 때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기 위한 계획으로 마련되어 숙종 때까지 이어졌지만, 청이 중국 대륙을 완전히 통일하면서 사라졌다. 현실적으로 어려운 계획이었지만 조선의 국방을 튼튼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효종이 북벌을 계획하게 배경은 임진왜란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럭저럭 전쟁 준비를 하긴 했으나(이는 실록에서도 꽤 보인다.)예상을 훨씬 뛰어넘은 규모의 일본군에게 개전 초 일방적으로 몰린 조선은 명나라 군대의 지원을 업고 평양성을 탈환한 이후에 반격의 실마리를 만들었다. 전쟁 기간에 명나라는 연인원 20만 이상을 병력으로, 은화 900만 냥 이상을 군사비로 지출하여 조선을 지원하였는데, 이 때문에 임진왜란 이후 명나라가 조선에 끼치는 정치적 입김은 더욱 강.. 2020. 6. 12.
효종 북벌의 꿈 그리고 동반자 송시열 조선 후기 문신 겸 학자, 노론의 영수. 주자학의 대가로서 이이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황의 이원론적인 이기호발설을 배격하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을 지지, 사단칠정이 모두 이라 하여 일원론적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예론에도 밝았다. 주요 저서에는 《송자대전》 등이 있다. 송시열의 본관은 은진(恩津). 아명은 송성뢰(宋聖賚).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菴) 또는 우재(尤齋). 봉사(奉事) 송구수(宋龜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사(都事) 송응기(宋應期)이고, 아버지는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 송갑조(宋甲祚)이다. 어머니는 선산곽씨(善山郭氏)로 봉사 곽자방(郭自防)의 딸이다. 그. 충청도 옥천군구룡촌(九龍村) 외가에서 태어나 26세(1632)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그의 집안이.. 2020. 6. 11.
조선 17대 왕 효종 - 이호 조선 제17대 왕(재위 1649∼1659). 병자호란으로 청나라에서의 8년간 볼모생활 중 그 설욕에 뜻을 두어, 즉위 후 은밀히 북벌계획을 수립, 군제의 개편, 군사훈련의 강화 등에 힘썼다. 그러나 북벌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청나라의 강요로 러시아 정벌에 출정하였다.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했고, 상평통보(常平通寶)를 화폐로 유통시키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겼다. 효종의 휘(諱) 호(淏). 자 정연(靜淵). 호 죽오(竹梧). 시호 명의(明義). 인조(仁祖)의 둘째아들이다. 어머니는 서평부원군 한준겸의 딸인 인열왕후 청주 한씨이며, 부인은 신풍부원군 장유의 딸인 인선왕후 덕수 장씨이다. 효종은 13세에 한 살 위인 인선왕후와 혼인하여 1남 6녀를, 후궁인 안빈 이씨와의 사이에서 1녀를 두었다. 효종은 인.. 2020. 6. 10.
효종 실록 은 조선왕조 제17대 왕인 효종 1619년 5월에서 1659년 5월의 재위기간 10년간의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으로, 정식 명칭은 이다. 은 본문 21권 21책과 효종의 행장, 지문, 시책문, 애책문 등이 수록된 부록을 합쳐 총22책으로 구성되었다. 활자로 간행되었으며, 조서왕조 다른 실록들과 합쳐 국보 제 151호로 지정되었다. 은 효종이 세상을 떠난 다음해인 1660년 현종1년 5월에 시작하여 익년 2월에 완성하였다. 편찬에 참여한 실록청 관원은 아래와 같다. 총재과 - 영춘추관사 이경석, 도청당상 - 지춘추관사 홍명하 , 채유후, 동지춘추관사 - 이일상, 도창낭청 - 목겸선, 조귀석,심세정, 김수흥, 지춘추관사 - 허적, 동춘추관사 - 김수향 등이다. 묘호는 효종, 존호는 선문장무신성현인이며,.. 2020.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