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9

' 많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다 '하여 < 설악산 만경대 > 설악산 만경대는 2013년 3월 11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04호로 지정되었다. 설악국립공원의 외설악·내설악·남설악 지구에 각각 하나씩 있는 조망 지대를 말한다. 명칭은 '많은 경관[萬景]'을 볼 수 있다 하여 붙여진 것이며, 많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다'는 뜻에서 망경대(望景臺)라고도 한다.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방면의 외설악 지구에 있는 만경대는 화채능선의 화채봉에서 양폭으로 내려오는 길 중간쯤에 있으며, 천불동계곡과 공룡능선을 조망할 수 있다. 인제군 북면 용대리 방면의 내설악 지구에 있는 만경대는 오세암 바로 앞의 해발 922.2m인 봉우리로, 용아장성릉과 공룡능선, 나한봉 등의 절경이 한눈에 들어오는 곳이다. 양양군 서면 오색리 방면의 만경대에서는 흘림계곡과 주전계곡 사이에 있어 남설악의 .. 2020. 10. 13.
중종시대 관련 인물 1. 김정 - 조선전기 이조정랑, 순창군수,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원충(元冲), 호는 충암(冲菴)·고봉(孤峯). 보은 출신. 김호(金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처용(金處庸)이고, 아버지는 호조정랑 김효정(金孝貞)이며, 어머니는 김해허씨(金海許氏)로 판관(判官) 허윤공(許允恭)의 딸이다. 1507년 증광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에 보임되고, 수찬(修撰)·병조좌랑을 거쳐 정언(正言)으로 옮겨졌다. 이어 병조정랑·부교리(副校理)·헌납(獻納)·교리·이조정랑 등을 거쳐 1514년에 순창군수가 되었다. 이 때 왕의 구언(求言: 정치에 도움이 되는 말이나 글)에 응해 담양부사 박상(朴祥)과 함께 중종 때 억울하게 폐출된 왕후 신씨(愼氏)의 복위를 .. 2020. 10. 13.
중종시대 관련 인물 1. 기준 - 기준[奇遵, 1492(성종 23)~1521(중종 16)]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이다. 자는 자경(子敬) 혹은 경중(敬仲)이고, 호는 복재(服齋)·덕양(德陽)이며,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본관은 행주(幸州)이며, 아버지는 응교 찬홍이고, 기대승(奇大升)이 조카이다. 조광조(趙光祖)와 매우 가깝게 교유하였으며, 기묘명현의 한 사람이다. 1513년(중종 7)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합격, 사관을 거쳐 홍문관정자로 초계문신이 되었고 박사를 역임한 뒤 사가독서 하였다. 1516년 저작(著作)으로 천문이습관(天文肄習官)을 겸하였으며, 검토관·수찬·검상·장령·시강관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517년 이성언(李誠彦)이 대간(臺諫)의 소를 비판하여 대간들이 교체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소를 .. 2020. 10. 12.
조선왕조실록 < 헌종실록 > 은 조선왕조 제24대 왕 헌종의 재위 기간인 1834년 11월에서 1849년 6월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다. 정식 이름은 이다. 본문은 16권 8책이며, 행록. 애책문 등으로 수록한 부록이 1책이다. 활자로 간행되었으며, 다른 왕의 실록과 함께 국보 제151호로 지정되었다. 편찬에 참여한 주요 인물들은 아래와 같다. 총재관 : 조인영, 정원용, 권돈인, 김도희, 박희수, 김픙근, 박영원, 도청당상 : 조두순, 서기순, 찬수당상 : 김좌근, 이가우, 윤정현, 김학성, 조학두, 김보근, 도병준, 김수근, 이경재, 김정집 교수당상 : 서헌순, 김병기 등이다. 헌종은 1849년 창덕궁 중희당에서 23세에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났다. 존호는 경문위무명인철효, 묘호는 헌종, 능호는 경릉으로 경기도 구리시.. 2020. 10. 12.
중종시대 관련 인물 1. 경빈박씨 - ?∼1533(중종 28).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후비이다. 아버지는 박수림(朴秀林)이다. 1509년(중종 4)에 왕자 복성군(福城君) 이미(李嵋)를 낳았고, 그뒤 혜순옹주(惠順翁主)와 혜정옹주(惠靜翁主)를 낳아 왕의 총애를 받았다. 1527년에 효혜공주(孝惠公主)의 남편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가 아버지 김안로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후의 인종)를 저주하기 위하여 꾸민 작서(灼鼠)의 변에 연루되어, 1528년(중종 23) 복성군과 함께 폐출되어 곧 사사되었다가 뒤에 신원되었다. 2. 복성군 - 조선전기 제11대 중종의 첫째 아들이다. 이름은 이미(李嵋). 아버지는 중종이며, 어머니는 경빈박씨(敬嬪朴氏)이다. 부인은 현감 윤인범(尹仁範)의 딸이다. 윤비가 세자(世子: 仁宗)를 낳.. 2020. 10. 11.
가을이 아름답고 겨울이 더 아름다워지는 산 < 계방산 > 계방산은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과 홍천군 내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579.1m로, 남한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이다. 한강기맥의 고봉으로 주변에는 오대산을 비롯하여, 백적산(白積山, 1,141m)·태기산(泰岐山, 1,261m)·방대산(芳臺山, 1,436m) 등이 솟아 있다. 북으로는 설악산(1,708m), 남으로는 태백산(1,567m)을 이어주는 백두대간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인근의 오대산(1,563.4m), 발왕산(1,485.8m)과 함께 이 지역 일대의 식생을 대표한다. 산세는 설악산 대청봉과 비슷하며, 최근 들어 이 일대가 생태계보호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환경이 잘 보호되어 있는 곳이다. 수계는 북쪽 골짜기에서 계방천이 시작하여 내린천(內麟川)으로 흘러들고, 남쪽 골짜기에서는 남한강의 지류인 .. 2020. 10. 10.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1. 정성근 - 조선전기 해주목사, 경기도경차관, 좌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이신(而信)·겸부(兼夫). 정자순(鄭子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설(鄭舌)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정척(鄭陟)이다. 어머니는 이양몽(李養蒙)의 딸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 수찬으로 경연관(經筵官)을 겸하였다. 1481년 부교리로서 승지의 업무를 맡을만한 인물로 추천되었고, 경차관(敬差官)으로 경기도에 파견되어 교동현의 유민(流民)을 진휼하였다. 이듬해에는 홍문관부응교로서 구황적간(救荒摘奸)하기 위해 전라도에 파견되었으며, 1483년 황해도경차관이 되었다. 그 뒤 홍문관전한을 거쳐 대마도선위사(對馬島宣慰使)로 파견되었다. 14.. 2020. 10. 10.
영산전을 가는 길이 좋은 < 도봉산 망월사 산행 > 도봉산은 서울 도봉구, 경기도 의정부시와 양주시에 걸쳐 있는 도봉산은 운명적으로 북한산과 얽혀 있는 산이다. 도봉산은 서울 근교의 산으로 북한산과 함께 북한산 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고 산세가 아름답다. 한북정맥이라는 뿌리가 같고, 우이령 통해 서로 이웃해 있다. 주능선상에는 최고봉인 자운봉을 비롯 만장봉, 선인봉, 주봉 등의 암봉과 서쪽으로 다섯 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있는 오봉이 있다. 선인봉, 만장봉, 주봉, 우이암은 각기 거대한 암벽들이다. 도봉산은 우람한 기암괴석과 뾰족이 솟은 암봉들이 장관을 이루며, 사방으로 뻗은 계곡을 따라 녹음이 우거져 명소를 만들고 있다. 사계절 모두 즐겨 찾는 산이지만 가을이면 단풍의 물결이 어느 산 못지않다. 도봉산의 3대 계곡은 문사동 계곡, 망.. 2020. 10. 9.
연산군 시대 관련 인물 1. 이극돈 - 조선전기 사헌부대사헌, 전라도진휼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고(士高). 이집(李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지직(李之直)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이며,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1457년(세조 3) 친시 문과(親試文科)에 정과로 급제해 전농시주부(典農寺主簿)에 임명되고 1459년(세조 5) 형조좌랑이 되었다. 1461년(세조 7) 통례문판관에 이어 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세자시강원필선 등을 지내고, 1467년(세조 13) 호군(護軍)으로 부산포에서 유구국 사신을 맞이하였다. 그리고 사헌부집의로 임명되어 『경국대전(經國大典)』 형전(刑典)·호전(戶典) 중에서 잘못된 곳을 지적하고, 불법한 홍윤성(洪潤成)의 죄를 다스리도록 청하기도 .. 2020.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