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9

중종 , 반정을 일으키고 왕이 되다. 종종반정이란 조선 제10대왕 연산군을 몰아내고 진성대군 이역(晉城大君 李懌)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이다 중종반정이 일어난 배경으로는 1506년(연산군 12) 성희안(成希顔)·박원종(朴元宗) 등 이른바 훈구세력이 임사홍(任士洪)·신수근(愼守勤) 등의 궁금세력(宮禁勢力)과 결탁해 학정을 거듭하던 연산군을 폐위시킨 사건이다. 연산군은 당시 특권 관료층인 훈구세력과 성종 때부터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신진 사림세력이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가운데 왕위에 올랐다. 그는 1498년 훈구세력과 결탁해 성리학적인 입장에서 왕도정치를 추구하는 사림파를 무오사화로 한 차례 거세하였다. 이로써 정치적 우세를 더욱 확고히 한 훈구세력은 그 횡포가 더욱 심해지고 권귀화(權貴化)의 경향을 현저하게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연산군은 궁금.. 2020. 3. 15.
조선 11대 왕 중종 - 이역 중종은 1488년에 태어나 1544년에 사망했으며 재위기간은 1506년부터 1544년까지인 38년2개월간이다.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과 계비인 정현왕후 사이에서 차남으로 출생했다. 왕자 시절의 이름은 진성대군이며 이복형인 연산군의 폭정이후 1506년 중종반정으로 왕위에 오른다. 연산군 시기의 폐해를 개혁하기 위해 조광조와 같은 신진세력을 등용해 왕권 강화를 시도하지만, 훗날 기묘사화로 그들을 숙청한다. 자는 낙천(樂天), 휘(諱) 역(懌)이다. 성종의 2남이며 연산군(燕山君)의 이복동생이다. 어머니는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尹氏), 비는 신수근(愼守勤)의 딸 단경왕후(端敬王后), 제1계비(繼妃)는 윤여필(尹汝弼)의 딸 장경왕후(章敬王后), 제2계비는 윤지임(尹之任)의 딸 문정왕후(文定王后)이다. 14.. 2020. 3. 15.
성종, 훈구세력의 견제, 사림의 김종직을 들이다 김종직은 조선전기 병조참판, 홍문관제학, 공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학자이다. 경상남도 밀양 출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효관(孝盥)·계온(季昷), 호는 점필재(佔畢齋). 아버지는 사예 김숙자(金叔滋)이고, 어머니는 밀양 박씨로 사재감정(司宰監正) 박홍신(朴弘信)의 딸이다. 정몽주와 길재의 학통을 계승하여 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는 조선시대 도학 정통의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1453년(단종 1) 진사가 되고, 1459년(세조 5)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이듬 해 사가독서(賜暇讀書: 휴가를 얻어 독서에 전념)하였으며, 1462년 승문원박사 겸 예문관봉교에 임명되었다. 이듬 해 감찰이 되고, 이어서 경상도병마평사·이조좌랑·수찬·함양군수 등을 거쳤으며, 1476년(성종 7) 선산부사가 되었다. .. 2020. 3. 15.
조선 8대 왕 예종 - 남이의 옥 남이의 옥이란 예종 때에 남이(南怡), 강순(康純) 등이 역모 혐의로 처형된 사건을 말한다. 예종은 1년 3개월이라는 짧은 재위기간을 지낸 왕이다. 그만큼 업적과 사고가 별로 없는 왕이기도 하다. 하지만 예종의 짧은 재위기간과는 상관없이 신하들 간의 세력다툼 크게 일어난 시기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신하들 간의 세력 다툼으로 인해 생긴 큰 사건이 '남이의 옥' 사건이다. 남이는 태종의 외손으로 힘이 세고 활을 잘 쏘아 1457년(세조 3)에 무과에 장원급제하였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무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이어서 건주야인(建州野人)을 토벌하는 데 세운 전공으로 세조의 총애를 받아 27세에 공조판서가 되고, 그 뒤 병조판서가 되었다. 1468년세조가 죽고 예종이 즉위하자 강.. 2020. 3. 14.
세조의 숙적 김종서 김종서는 1383(우왕 9) 태어나 1453(단종 1)죽었다.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 할아버지는 지평 김태영(金台泳)이고, 아버지는 도총제(都摠制) 김추(金錘)이며, 어머니는 대사헌 배규(裵規)의 딸이다. 그는 세종 때 6진 개척을 주도한 인물로, 그리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 세력에 의해서 살해된 인물로 잘 알려졌다. 그러나 그는 300여 년이 지난 영조 대에 복권되면서 충의의 상징으로 우리에게 각인되고 있다. 1405년(태종 5) 식년 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해 1415년 상서원직장(尙書院直長)을 지냈다. 1418년(세종 즉위년) 11월 감찰로서 강원도의 답험손실(踏驗損實: 실지 답사를 통해 수확량을 조사함)로 원성이 크자 조정에서 다시 .. 2020. 3. 14.
수양대군의 책사 한명회 한명회(韓明澮, 1415~1487)는 조선전기 계유정난의 설계자로서, 성공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한명회는 또한 두 딸을 예종과 성종에 들이면서 왕의 장인으로서, 지략으로 당대 권력의 정점에 위치하였다. 한명회는 잉태된 지 7달 만에 태어나, 어려서는 사지가 완전치 못했는데, 차츰 장성하면서 체구가 보통 사람의 갑절이나 커지고, 또 지모가 남달리 뛰어났다. 젊었을 때에 절에서 글을 읽었다. 그러던 어느 날 밤에 산골짝을 가는데 범이 그를 호위하고 갔다. 공이 이르기를, “멀리까지 와서 보내 주니 족히 후의를 알 수 있네.” 하였더니 범이 마치 머리를 숙이고 꿇어 엎드리는 듯이 하더니 날이 밝을 무렵에야 갔다. 또 한 번은 그가 영통사란 절에 들러 머무른 일이 있었다. 그때 늙은 중 한 사람이 그의 상.. 2020. 3. 14.
연산군, 천명의 기생과 향락을 즐긴 폭군 그리고 그의 최후 조선의 10대 왕 연산군은 어린시절 어머니 윤씨가 폐비가 되었다. 하지만 어린 연산은 그 사실을 정확히 알지도 못한채 가족들이 자신을 멀리 한다는 것만 어렴풋이 느끼며 외로운 어린 시절을 보내게 된다. 그런 연산이 왕위에 즉위하면서 억울하게 죽은 어머니의 사연을 알게 되고 그 사건을 방관하고 외면했던 이들에게 복수을 칼날을 갈기 시작한다. 그리고 왕권을 잡기 위한 무오사화를 일으키며 많은 피를 보게 된다. 또한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수를 하기위해 갑자사화를 일으키며 궁에는 피바람이 멈출날이 없었다. 연산의 만행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졌다. 연산군 11년인 1505년 6월, 연산군은 전국 팔도의 미녀와 튼튼한 말을 구하는 지방 관리인 '채홍주사'를 파견한다. "이제 이계동을 전라도에 , 임숭재를 경상도.충.. 2020. 3. 14.
생유신과 사육신 세조를 몰아내고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사전에 발각되어 죽음을 맞이하게 된 충신들로 성삼문 · 박팽년 · 유응부 · 이개 · 하위지 · 유성원 등 핵심 인물 6명을 일컫는 말이다. 생육신은 김시습 · 원호 · 조려 · 성담수 · 남효온 · 이맹전을 일컫는 말로 사육신의 정신을 이어받았다는 의미를 지녔다. 성삼문은 집현전을 중심으로 동문수학했던 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 등 뜻이 맞는 동지들을 규합하기 시작하였고 무인인 유응부도 거사에 합류했다. 그러나 이들의 거사는 결국 실패로 끝났고 모두 체포되어 참수당했다. 당시 이 사건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하거나 화를 입은 인물은 사육신을 비롯해 권자신, 김문기 등 70여 명에 이르렀다. 그런데 우리가 단종 복위 운동에 나선 인물을 대개 사육신으로만 알고 있는 까닭은.. 2020. 3. 12.
세종대왕 훈민정음을 만들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어 반포한 일은 엄청난 일이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어떤 나라와 견주어도 자랑할 만한 문자이다. 이런 훈민정음을 만들기까지 무수한 사건과 사고 그리고 반대가 있었으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 하나로만들어낸 한글은 그래서 더 찬란한 업적이 아닌가 싶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解例)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집필자들은 정인지·신숙주(申叔舟)·성삼문(成三問)·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강희안(姜希顔)·이개(李塏)·이선로(李善老) 등 집현전의 8학자이다. 전권 33장 1책. 목판본. 국보 제70호.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소장. 1446년 9월 상한(上澣:초하루에서 초열흘까지의 기간).. 2020.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