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9

세종이 사랑한 신하 장영실 조선 세종시대 최고의 과학자로 기억되는 장영실(蔣英實). 역대 과학자 가운데 장영실만큼 이름이 회자되는 인물도 없지 않을까 싶다. 장영실은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 자격루를 한국 최초로 만든 인물이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 번 등장할 정도로 유명인이었지만, 정작 그의 삶은 베일에 가려진 인물이기도 하다.장영실이 어떻게 출생하여 성장했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까닭은 그의 출생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다. 세종의 아낌없는 사랑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장영실은 동래현의 관노(官奴), 즉 노비였다. [세종실록]에는 장영실의 부친은 원(元)나라 사람으로 소주(蘇州)·항주(杭州) 출신이고, 모친은 기녀였다고 전한다. 실상 부친이 관노가 아니었음에도 장영실이 관노가 된 것은 모친의 신분에서 비롯된 것이다. 조.. 2020. 3. 11.
집현전 학자 신숙주 신숙주의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자는 범옹(泛翁), 호는 보한재(保閑齋) 또는 희현당(希賢堂),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아버지는 공조참판(종2품)을 지낸 신장(申檣, 1382~1433)이고, 어머니는 지성주사(知成州事) 정유(鄭有)의 딸이다. 참판이라는 벼슬이 보여주듯 신장은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인물이었다. [세종실록]에 실려 있는 그의 졸기에는 그가 인품이 온후하고 사장(詞章) 과 초서ㆍ예서에 뛰어났지만, 술을 너무 좋아한 것이 단점이었다고 적혀 있다. 그의 능력을 아낀 세종이 절주를 당부했지만, 과음은 결국 그의 사인(死因)이 되었다(세종 15년 2월 8일). 그러니까 신숙주는 16세 때 아버지를 여읜 것이다. ‘숙’이라는 이름이 나타내듯이, 신숙주는 신맹주(申孟舟), 신중주(申仲舟), 신송주(申松.. 2020. 3. 11.
세조실록 은 조선왕조 제7대 왕 세조의 재위기간인 1455년 윤6월에서 1468년 9월, 14년가의 역사를 기로한 사서이다. 정식 이름음 이며, 모두 49권 18책으로 간행되었다. 끝의 2권은 세조 대에 제작한 악보를 수록한 것으로, 의 악보와 함께 아악 연구의 귀중한 자료이다. 조선시대 다른 왕들의 실록과 함께 국보 제151호로 지정되었다. 은 세조가 세상을 떠난 다음해, 즉 예종 원년인 1469년 4월 1일에 춘추관 실록청을 설치하고, 신숙주. 한명회를 영춘추관사, 최항을 감춘추관사. 강희맹.양성지를 지춘추관사, 이승소. 김수령. 정난종. 이영은. 이극돈. 예승석을 동지 춘추관사에 임명하여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은 처음 6방으로 나누어서 편찬하였으나, 그 해 1월 예종이 승하하고 성종이 즉위하자 6방을 3방으.. 2020. 3. 11.
세종 사랑하는 신하 집현전 학자들 세종의 업적을 말하려고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인물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집현전의 학자들은 세종의 업적 중에 한글 창제에 지대한 공헌을 한 사람들이기도 하다. 집현전이란 '현명한 학자들이 모인 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말 그대로 유능한 인재들이 모여 공부를 하는 곳이였다. 세종은 집현전에 많은 관심과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었다. 대표적으로 ‘사가독서’란 제도가 있는데 이것은 학사들에게 독서를 위한 휴가를 주어 업무를 잊고 오직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또한 학사들이 학문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많은 책을 비치해 두었다. 집현전 학사들은 유교 정치의 기반이 되는 제도와 나라의 정책에 대해 연구했다.임금과 함께 나라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며 대책을 마련하기도 했다. 그들이 한 학문 연구는 .. 2020. 3. 10.
연산군, 어머니를 위한 복수를... 갑자사화 연산은 즉위 초기에 어머니 폐비 윤씨의 이야기를 들었을 때 그 자리에서 쇠망치를 들지 않았다. 연산군은 냉철한 왕이였다. 대신 신하들이 왕권에 도전할 때마다 이를 핑계 삼아 어머니의 죽음을 주관하고 방관한 신하들을 처단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 날이 1504년 갑자년이었다. 이때 또 한 차례의 피바람이 불게 되는데 이것이 갑자사화이다. 갑자사화의 원인은 연산군의 사치와 낭비로 국고가 바닥이 나자 그는 공신들의 재산의 일부를 몰수하려 하였는데, 이때 임사홍(任士洪)은 연산군을 사주하여 공신배척의 음모를 꾸몄다. 이때 폐비윤씨의 생모 신씨(申氏)가 폐비의 폐출·사사의 경위를 임사홍에게 일러바쳤고, 임사홍은 이를 다시 연산군에게 밀고하면서 사건이 확대되었다. 연산군은 이 기회에 어머니 윤씨의 원한을 푸는 동시.. 2020. 3. 10.
연산군의 장녹수에 대한 사랑 가난해서 시집도 여러 번 가고 자식까지 둔 여인이 왕에게 발탁되어 궁궐에 들어갔다. 바로 장녹수(張綠水, ?~1506) 이야기이다. ‘연산군’ 하면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인물 장녹수는 흥청(興淸)이라는 기생 출신에서 일약 후궁의 지위에까지 올랐다. 30세의 나이에도 16살 꽃 다운 여인으로 보였다는 동안(童顔) 장녹수는 자식을 둔 후에도 춤과 노래를 배워 기생의 길로 나섰고, 궁중으로 뽑혀 들어와서는 연산군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아 후궁이 되었다. 후궁이 된 장녹수는 연산군의 음탕한 삶과 비뚤어진 욕망을 부추기며 자신의 욕망을 채워나갔다. 그녀는 무수한 금은보화와 전택(田宅) 등을 하사받았고, 연산군의 총애를 발판 삼아 정치를 좌지우지하였다. 모든 상과 벌이 그녀의 입에서 나온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그.. 2020. 3. 9.
폭군 연사군의 첫 번째 피바람 '무오사화' 연산군의 아버지 성종은 조선 최고의 성군인 세종을 닮고자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중요하게 여겼고, 신하들의 목소리에 경청하였다. 그렇다 보니 성종과 대신, 대간들 간의 적절한 균형 속에 정치가 순조롭게 운영되었다. 하지만 이는 자칫 왕권이 약화될 소지가 있었다. 특히 바른 소리를 하는 대간의 행동이 왕권강화를 원하는 연산군에게는 걸림돌이 되었다. 이런 가운데 ' 무오사화 '가 일어나게 된다. 조선시대에는 총 4차례의 사화가 일어나게 된다. 사화란 조선의 사림파가 훈구파에 의해 목숨을 잃은 사건을 말한다. 연산군 때에는 총 2차례가 일어나게 된다. 첫 번째 사화인 무오사화는 사초가 계기가 되어 일어나게 된다. 사로란 을 만들기 위한 역사기록이다. 사초 중에서도 사림의 대표 주자였던 김종직이 쓴 이 계기가 되.. 2020. 3. 9.
조선 10대 왕 연산군 - 이융 1476년(성종 7) 11월 7일 조선의 9대 왕인 성종의 맏아들(적장자)로 출생하였다. 어머니는 후궁이었다가 성종의 총애를 받아 왕비에 오른 윤씨이다. 당시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는 성종(成宗)의 첫번째 후궁이었으며 이후 연산군을 잉태하면서 비(妃)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연산군 나이 3세에 어머니 윤씨가 폐서인이되고 6세에 사약을 먹고 죽는다. 성종 14년인 1483년 연산군 나이 7세에 세자에 책봉이 된다. 12년 동안 세자 수업을 받은 후, 19세에 즉위하게 된다 연산군은 역사상 손꼽히는 악덕과 살육을 저른 왕으로 폭군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조선왕조 최초로 신하들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난 인물이기도 하다. 사실, 실록을 통해 연산의 세자 시절을 살펴보면 딱히 뛰어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모자라지도 않.. 2020. 3. 9.
사림 그리고 김종직의 '조의제문 성종 하면 단연 사림(士林)을 어엿한 정치 세력으로 부상시킨 인물이고, 김종직을 비롯한 이들을 중용했으며, 대간(臺諫) 세력을 크게 키워 조선식 비판 정치를 활성화시킨 인물로 유명하지만, 정작 자신이 키운 대간 권력에 의해 거의 죽기 일보 직전으로까지 스트레스를 받았다. 조선 초만 해도 대간은 미래의 대신들이고, 대신들은 과거의 대간들로, 이해 관계가 상당 부분 일치해 정계와 언론계가 유착해서 초장부터 싹이 노랬는데, 세조 때는 정청(政廳)에서 관이 벗겨지고 상투를 잡혀 끌려 나가는 등 대우가 매우 처참해서, 거의 구실을 못 하던 상황이었다. 이에 성종은 사림들을 대거 등용하여 대간을 채웠고, 유명무실해진 사헌부, 사간원의 권력을 회복시키며, 새로이 홍문관에게도 비판 기능을 부여하여 비판을 활성화시켰다... 2020.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