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9

나경언의 고변 1762년 영조 38년 윤 5월 중전 김씨의 아버지 김한구와 그 일파인 홍계희. 윤급 등의 사주를 받은 나경언이 세자의 비행을 고발하는 내용 외에도 역적모의를 꾀한다고 무고했다. 이는 소론 일파의 재기를 우려한 노론의 발상이었다. 휘녕전에 엎드린 세자는 끝내 역적모의를 부인하자 영조는 요천검을 내려 자결하라고 명했다. 임금과 세자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던 영의정 홍봉한은 파직되고 후임으로 신만이 임명되었다. 신만이 임금에게 자결 명령을 거두어 달라고 애원하자 영조는 살기등등하여 그에게 세자보다 먼저 죽고 싶으냐고 호통쳤다. 마지막으로 임덕재가 죽기를 각오하고 간언 했으나 역시 쫓겨나고 말았다. 덕성합에서 이 살벌한 소식들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듣고 있던 세자빈 홍씨는 통곡하였고 세손도 울면서 어머니 .. 2020. 9. 3.
사도세자의 방탕생활 3. 1761년 영조 37년 4월 동궁의 시종들과 세자빈의 반대를 무릅쓰고 평안감사 정휘량의 감언에 따라 세자는 평양으로 떠났다. 물론 영조의 윤허도 없이 몰래 떠난 것이었다. 20일 만에 돌아온 세자에게 동궁의 유선 서지수, 대사성 서명응, 장령 윤재겸 등이 부왕을 만나 요서를 빌라고 건의하였으니 세자는 이들에게 폭언을 퍼붓자 세자의 장인인 우의정 홍봉한이 울면서 건의하였다. 세자는 하는 수 없이 부왕을 만났다. 겉으로는 평양을 다녀온 문제는 수습되는 듯했다. 당시 영조는 여러 후궁들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그중에는 젊고 발랄한 문 숙의도 있었지만 새 중전 김씨에게 한동안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영조는 문 숙의의 처소를 찾았다. 이때 숙의 문씨는 영조에게 아양을 떨었다. "전화, 신첩의 소원은 나라 안의 명승.. 2020. 9. 3.
사도세자의 방탕생활 2. 1752년 영조 28년 3월 영조와 세자 부자 간이 계속 반목하던 중에 세 살 된 세손이 죽었다. 임금은 세자 선은 의중에 두지 않았고 오직 왕세손에게 온갖 기대를 걸었는데 너무나도 빨리 세상을 떠났다. 이 해 9월 세자빈 홍씨가 두 번째 왕손을 낳았으니 뒤에 22대 왕 정조가 되는 세손이었다. 영조와 세작 간에 갈등이 계속되자 영조는 세자의 대리청정을 환수했다. 세자는 멍에를 벗어 버린 듯 홀가분했고 한편 허전하기도 했다. 그때 만난 여인이 16세의 나인 임씨였다. 세자는 임씨에게 욕망을 불태웠다. 세자로서는 세자빈 외에 처음으로 접촉하는 여인이었다. 승휘 임씨는 그 뒤 숙빈으로 봉함을 받았고 뒤에 두 아들을 낳게 되었다. 그녀가 낳은 은언군 인과 은신군 진, 두 왕자 중 은언군은 청종의 조부가 되고 .. 2020. 9. 2.
사도세자의 방탕 생활 1. 1744년 영조 20년 1월 세자가 열 살이 되자 동갑인 홍씨를 세자빈으로 맞이하였다. 홍씨는 홍봉한의 딸로 1735년 영조 11년 6월에 태어났고 이 여인이 후일 혜빈으로 봉해지는 혜경궁 홍시로서 정조의 어머니다. 세자빈 홍씨의 아버지 홍봉한은 그 해 자신을 위해 특별히 실시된 문관에 급제하여 사관이 되었고, 그 뒤 영의정까지 올라 노론의 거두가 되었다. 1747년 영조 23년 12월 세자가 13세 때 조세를 체납한 백성들을 감옥에 가두는 일이 벌어졌는데 겨울 찬 바람이 몰아치는 감옥에 체납자들을 몰아넣고는 발가벗겨 추위에 시달리게 하는 잔혹한 방법을 썼다. 영조는 형조판서 이종서에게 대신들과 상의하여 다른 방법을 쓰도록 명령을 내렸다. 이때 대신들 앞에서 세자가 겁 없이 엉뚱한 반박 질문을 던졌다. .. 2020. 9. 2.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동구릉 3편 - 목릉> 안녕하세요. 무님의 여행이야기 을 소개합니다. 동구릉 3편에서는 선조와 그의 비인 인목왕후와의 의인왕후가 잠든 을 소개하려 한다. 동구릉의 입구를 들어서면 홍살문이 보인다. 홍살문은 신성 구역임을 표시하기 위해 세 워둔 문으로 왕릉을 들어서는 초입에는 홍살문이 세워져 있다. 현릉에서 건원릉으로 향하는 길 사이 산속으로 올라가는 길이 나온다. 건원릉 바로 옆의 작은 산길이라 슬쩍 보면 넘길 수 있는 그 길이 목릉으로 오르는 길이다. 은 조선 14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 박씨와 두 번째 왕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이다. 목릉은 같은 능역 안에 각각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서한 동원이강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이 선조, 가운데 언덕이 인의 왕후, 오른쪽 언덕이 인목왕후의 능이다... 2020. 9. 2.
실학의 선구자 <안정복> 안정복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성리학자로, 오늘날 다수의 한국인에게는 동사강목이라는 역사서로 유명하다. 여용국전이라는 소설도 썼다.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 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이다. 안정복은 제천(提川) 출신이며 안신행(安信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참의 안서우(安瑞羽)이고, 아버지는 증 오위도총부부총관 안극(安極)이다.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이익령(李益齡)의 딸이다. 이익(李瀷)의 문인이다. 고려조에 태조를 도와 가문을 연 안방걸(安邦傑)로부터 대대로 중앙의 고급관료를 지냈으나, 안정복의 가까운 선조에 이르러 영락하였다. 고조 안시성(安時聖)은 현감을 지냈고, 증조 안신행(安信行)은 종8품의 빙고별검(氷庫別檢)이었다. 조부대에 이르면 남인의 정치적인 입.. 2020. 9. 1.
단종, 세조 시대 관련 인물 1. 유성원 - 조선전기 박사, 지평, 춘추관기주관, 직집현전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태초(太初), 호는 낭간(琅玕). 유수(柳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호(柳滸)이다. 아버지는 사인 유사근(柳士根)이며, 어머니는 윤임(尹臨)의 딸이다. 단종을 위해 순절한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1444년(세종 26)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듬해 집현전저작랑으로, 당시의 의학 총서(醫學叢書)인 『의방유취』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46년 박사로 승진했고, 1447년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했으며, 『고려사』의 개찬(改撰)에 참여하였다. 1450년(문종 즉위년) 문종이 어린 왕세자를 위해 서연(書筵)을 열어 사(師)·빈(賓)의 상견례를 행할 적에 좌사경(左司經)으로 선발되어, 세자를 잘 .. 2020. 8. 31.
단종, 세조 시대 관련 인물 1. 성승 - 조선전기 중추원부사, 의주목사, 도총관 등을 역임한 무신이다. 본관은 창녕(昌寧). 호는 적곡(赤谷). 할아버지는 개성유후(開城留後) 성석용(成石瑢)이고, 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성달생(成達生)이며, 사육신의 한 사람인 성삼문(成三問)의 아버지이다. 무과에 급제, 1440년(세종 22)에 경상도병마절제사를 거쳐, 1446년에 중추원부사가 되었다. 이듬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50년(문종 즉위)에 정조사(正朝使) 부사로 또다시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에 돌아왔고, 같은 해 의주목사에 제수되었다. 1455년(세조 1)에 동지중추원사를 거쳐, 도총관이 되었다. 세조가 단종에게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하자 아들인 성삼문을 비롯, 박팽년(朴彭年)·하위지(河緯地)·이개(李塏.. 2020. 8. 30.
영조가 이룬 <탕평책> 과 업적들 조선 후기에는 정치하는 사람들 간에 서로 무리를 지으며 편이 갈라지기 시작했다. 그런 정치 무리를 ‘붕당’이라고 했다. 처음에는 붕당에 속한 사람들도 다른 편을 서로 인정해 주며 사이좋게 정치를 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자 상대 당에 대한 올바른 비판은 사라지고, 점차 모함이나 부정적인 비판으로 바뀌면서 붕당 간의 정치적 싸움이 치열해지기 시작하게 된다. 영조 임금은 신하들끼리 편을 갈라 자기들만의 이익을 좇는 상황이 왕권을 약하게 만들고 조선을 망하게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붕당 간의 싸움을 억누를 수 있는 강력한 정책을 실시하기로 한다. 그 정책이 바로 '탕평책'이다. 탕평책은 영조가 서로 다른 무리의 신하들이 골고루 벼슬을 할 수 있도록 인재를 고르게 등용한 정책이었다. 영조는 세제 때부터 탕평책을.. 2020.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