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진왜란25

백사 이항복 '오성과 한음'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은 조선시대 이조판서, 예문관대제학,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며 조선시대에서도 특히 친숙한 인물이다. 그의 이름이 낯설더라도 ‘오성과 한음’이라고 말하면, 대부분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부연이 필요 없겠지만 ‘오성(鰲城)’은 오성부원군 이항복이고 ‘한음(漢陰)’은 한원부원군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이다. 서로 다섯 살 차이인 두 사람은 뛰어난 인물이 특히 많이 배출되었던 16세기에도 우뚝한 존재였다. 이항복의 본관은 경주고 자는 자상(子常), 호는 백사(白沙)ㆍ동강(東岡)이다. 고려 후기의 대학자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우참찬(정2품)까지 오른 이몽량(李夢亮)이고 어머니는 현감 최윤(崔崙, 본관은 전주)의 딸이다. 이항복은 1556.. 2020. 5. 13.
오리 이원익, 대동법을 완성하다 이원익은 조선시대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그의 생몰년은 그를 규정하는 대표적 특징을 알려준다. 그는 87세로 매우 장수했고, 그런 까닭에 임진왜란(45세, 이조판서)과 인조 반정(76세, 영의정), 정묘호란(80세, 영중추부사) 같은 조선 중기의 중요한 사건을 모두 통과했다. 나이와 관직이 보여주듯이 그는 그 사건들의 중심에 있었다. 어떤 사람의 지위와 임무가 높고 중요할수록 그의 일상은 평온보다는 변화와 격동에 지배되기 쉽다. 그 사람의 성향에 따라 그것은 그에게 행복이기도 하고 고통이기도 할 것이다. 조선 중기는 뛰어난 인물들이 특히 많이 배출된 시기였다. 그들에게 주어진 시대적 조건은 특히 가혹했다. 이원익은 뛰어난 실무적 경륜과 굳은 의지로 그런 국면을 헤쳐간 .. 2020. 5. 11.
선조의 장자 임해군 임해군은 조선시대 제14대 선조의 서자인 왕자이자 맏아들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진(李珒), 자(字)는 진국(鎭國). 어머니는 사도시첨정 김희철(金希哲)의 딸이다.성품이 사나워 세자로 책봉되지 못하고 아우 광해군이 세자가 되었다.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金氏)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순화군(順化君)과 동북지방으로 피난 가서 가토[加藤淸正]에게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609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대북파(大北派)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모해하여 이복 동생인 영창대군(永昌大君)ㆍ김제남(金悌男 : 인목대비의 아버지)과 함께 역모죄(逆謀罪)로 몰려 살해되었다. 서자이지만 서열이 첫째이므로 당연히 세자가 되어야 하나 성질이 난폭하여 아우인 광해군에게 세자 자리를 빼앗기고 비참한.. 2020. 5. 3.
행주대첩 행주대첩은 조선 선조 때인 1593년에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과 백성들이 행주 산성에서 힘을 합쳐 일본군을 크게 무찌른 싸움이다. 진주 대첩, 한산도 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첩 중 하나로 꼽힌다. 권율은 왜란 초 광주목사(光州牧使)로 있으면서 1592년(선조 25) 7월 배티〔梨峙〕싸움에서 대승한 공으로 전라도관찰사 겸 순찰사가 되었다. 권율은 관군과 함께 평양을 수복한 뒤, 남쪽으로 내려온 명나라의 원군과 호응해 서울을 되찾기 위해 관군을 이끌고 북상하였다. 북상하던 중 수원 독산성(禿山城)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이어 그는 군대를 서울 근교 서쪽으로 옮기기로 하고 조방장(助防將) 조경(趙儆)에게 적당한 지역을 물색하도록 하였다. 조경은 양천(陽川)에서 한강을 건너 병력을 주둔시킬 만한 곳을 찾아내.. 2020. 4. 29.
권율장군, 임진왜란 행주대첩의 승리 권율은 조선시대 의주목사, 도원수 등을 역임한 문신이며 장수이다. 금산군 이치(梨峙)싸움, 수원 독왕산성 전투, 행주대첩 등에서 승리했다. 임진왜란 7년 간 군대를 총지휘한 장군으로 전공을 세웠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모악(暮嶽). 도첨의(都僉議) 권보(權溥)의 9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화부사 권적(權勣), 아버지는 영의정 권철(權轍), 어머니는 적순부위(迪順副尉) 조승현(曺承晛)의 딸이다. 이항복(李恒福)의 장인이다 1582년(선조 1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어 전적·감찰·예조좌랑·호조정랑·전라도도사·경성판관을 지냈다. 1591년에 재차 호조정랑이 되었다가 바로 의주목사로 발탁되었으나, 이듬해 해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 2020. 4. 28.
류성룡 <징비록>쓰다 조선 시대의 문신. 25세에 문과에 급제해 벼슬길에 올라 나라의 정책을 결정하는 우의정 자리에 오른다. 임진왜란1)이 일어났을 때 총책임관을 맡아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인 을 썼다. 조선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서애(西厓).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지금의 경상북도 의성군의 사촌마을 외가에서 태어났고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의 하회마을에서 성장했다. 그 후 안동에서 지내다가 20대에 퇴계 이황의 제자로 들어갔다. 1564년 명종 때에 사마시(소과)에 합격했고 1566년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여러 내직을 거쳤으며 선조가 즉위한 뒤에도 중용되어 그럭저럭 순탄한 관직 코스를 밟았으며 선조의 총애를 받았다. 다만 그가 .. 2020. 4. 27.
조선 15대 왕 광해군 - 이혼 조선 15대 왕 광해군은 1575년에 태어나 1641년에 사망했다. 재위기간은 1608년에서 1623년으로 15년 1개월이다. 조선의 제 14대 선조와 후궁 공빈 김씨 사이에서 선조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선조는 당시 왕비와의 사이에서는 자녀가 없고, 후궁 공빈 김씨와의 사이에서 장남 임해군과 차남 광해군을 두었다. 그런데 임해군은 성품이 포악해 광해군이 후계자로 지목되고 있었던 것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나서야 세자초 책봉된 광해군은 전장을 누비며 저재으이 총사령관 역활을 충실히 하며 백성들을 위로한다. 전쟁 이후, 아버지 선조와 새 왕비 인목왕후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나자 왕위 세습의 위협을 받지만, 얼마 되지 않아 선조가 승하하면서 조선의 제 15대 왕으로 즉위한다. 광해군이 세자에 책봉되기전 세자 .. 2020. 3. 24.
임진왜란의 숨은 영웅 < 의병 > 의병이란 외적의 침입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스스로 일어나 싸운 의로운 병사들을 뜻한다. 양반과 상민, 천민 등 신분을 가리지 않고 참여했으며, 특히 임진왜란과 일제 침략기에 크게 활약했다. 1592년 4월 13일에 부산 앞바다에 나타난 왜군은 불과 수십 일 만에 한양을 점령했고, 곧이어 평양까지 쳐들어가 한반도 대부분을 차지했다. 외적이 우리 땅을 차지하고 우리 민족을 죽이는 것을 본 사람들은 스스로 무기를 들고 일어났다. 특히 지방에서 어른 역할을 하던 양반 유학자들이 의병 활동을 주도했다. 의병은 처음에는 자기 마을을 지키기 위해 모였다. 마을을 이루고 있던 양반과 농민, 노비들이 모여 군대를 만든 것이다. 이 의병들을 이끄는 대장은 대부분 그 마을에서 이름이 높았던 양반들이 맡았다. 그러다가 여.. 2020. 3. 23.
유성룡 <징비록>>을 쓰다 유성룡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25세에 문과에 급제해 벼슬길에 올라 나라의 정책을 결정하는 우의정 자리에 오른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총책임관을 맡아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인 을 썼다.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1542~1607)은 1542년(중종 37) 10월에 의성현 사촌 마을의 외가에서 아버지 유중영(柳仲郢, 1515~1573))과 어머니 안동 김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558년 17세 때 세종대왕의 아들 광평대군의 5세손 이경의 딸과 혼인했다. 형은 유운룡(1539-1601)이다. 부친인 유중영은 1540년에 문과에 급제한 후 의주목사ㆍ황해도관찰사ㆍ예조참의를 두루 거친 강직한 관료였다. 유성룡은 어린 시절 조부와 부친으로부터 가학(家學).. 2020. 3. 23.